중기부, R&D 벤처기업 지원 확대···VC ‘선 투자’·정부 ‘후 연결 투자’
업계, 미래먹거리 기술개발 투자 확대 ‘환영'···전문가들 “R&D 벤처들에 VC 투자 늘어날 것"

[시사저널e=염현아 기자] 중소벤처기업부가 기술개발(R&D) 분야 벤처기업들에 대한 지원을 대폭 확대하기로 했다. 단기·소액 지원에 그쳤던 기존 벤처투자의 한계를 정부가 메우겠다는 취지다. 그간 투자시장에서 소외돼 기술개발이 가로막혔던 벤처기업들의 숨통을 틔워줄 것이란 기대가 나온다.

31일 중기부는 ‘투자형 기술개발’ 지원을 확대하는 방안으로, 벤처투자자(VC)가 먼저 R&D 벤처기업에 투자하면, 이후 정부가 투자를 이어나가는 지원책을 발표했다. 그간 단기·소액 투자에 그쳤던 VC 투자를 정부가 이어받아 장기 투자로 지원하겠다는 것이다.

중기벤처기업 투자형
중기·벤처기업 ‘투자형 기술개발(R&D)’ 지원책. / 그래픽=김은실 디자이너

중기부 기술개발과 관계자는 “투자형 R&D에 투입되는 예산을 기존 2.8%에서 점차 늘려 2025년엔 10% 수준으로 투입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중기부는 특히 투자시장에서 소외된 제조·하드웨어 분야의 테크펌을 중심으로 집중 지원한다.

테크펌은 직방, 야놀자 등 기술을 개발해 서비스하는 플랫폼 기업 등과는 달리, 직접 기술을 연구개발해 그 기술을 다른 기업에 이전 혹은 판매하는 기술집약형 기업이다. 테크펌은 초기 기획 및 연구 단계부터 개발에 성공하기까지 지속적인 지원이 필수적이지만, 비교적 위험성이 큰 데다 회수 가능성이 보장되지 않는다는 이유로 VC 투자시장에서 소외된 분야로 꼽힌다.

중기부 기술개발과 관계자는 “현재 유니콘 반열에 오르는 플랫폼 기업들은 대부분 VC 투자가 활발하게 이뤄지는 반면, R&D 분야 벤처들은 성공 가능성이 낮다 보니 아무래도 VC가 투자를 꺼리는 경향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지원책에는 중기부가 주관하는 창업 촉진 프로그램 ‘팁스’ 활용도 눈에 띈다.

팁스는 대부분 7년 이하의 초기 스타트업들을 지원하는 ‘스타트업 팁스’ 트랙으로 운영됐지만, 여기에 ‘스케일업 팁스’를 신설해 업력이 오래됐어도 지원이 필요한 테크펌들을 선별해 전주기 성장을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중기·벤처업계에서도 이번 투자형 기술개발 확대 정책을 반기는 분위기다. 그간 업계 전문가들은 정부에 뒤쳐져 있는 미래먹거리 기술개발의 지원 확대를 건의해 왔다.

유정희 벤처기업협회 혁신벤처정책연구소 부소장은 “기존 R&D 투자는 성공률 높고 안정적인 프로젝트에 한해서만 이뤄졌지만, 위험 리스크가 큰 것도 과감하게 지원해야 미래먹거리 혁신 기술들이 많이 나올 수 있다”며 “그간 업계에서 건의했던 내용이 이번 보완책에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최성진 코리아스타트업포럼 대표는 “기존에는 서류심사를 통해서만 R&D 벤처기업을 지원해 왔기 때문에 다소 경직됐다는 비판이 있었는데, 이번에 중기부 보완책은 다양한 투자 방법을 시도하고 있어서 고무적”이라면서도 “스케일업 트랙에 합류할 R&D 기업을 선정할 때 성공 가능성을 전문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전문심사제도가 도입돼야 한다”고 조언했다.

전문가들은 ‘VC 선 투자, 정부 후 연결 투자’ 방식이 기업의 투자 확대를 유도할 수 있다고 입을 모은다.

유 부소장은 “VC 투자는 기본적으로 리스크를 감수하는 것을 꺼리고, 대부분 회수가능성이 높아야 투자한다”며 “단기 투자에서 그치는 VC 투자를 정부가 이어서 한다면 기업의 리스크 부담을 덜 수 있고, 투자를 계속 받는 벤처는 그만큼 기술개발 성공 가능성을 높여 결국엔 VC 투자를 유도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최 대표도 “VC와 연계해 투자를 이어가는 방안은 굉장히 긍정적”이라며 “기술개발 테크펌들이 숨통을 틔울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