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가계대출 규제에 신용대출은 ‘연봉 이내’, 마통은 ‘5000만원’으로 한도 축소
규제시행 전 신용대출 쏠림 현상···5대 은행 주간 신용대출 4679억→2조8820억
[시사저널e=이승용 기자] 정부가 가계대출 규제에 들어가면서 다음달부터는 전 은행권에 걸쳐 신용대출과 마이너스통장 한도가 축소될 전망이다. 신용대출은 연봉 이내, 마이너스통장은 5000만원이 최대치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은행에는 규제시행 전 대출을 받으려는 고객들이 몰리면서 신용대출과 마이너스통장 대출이 급증했다.
29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 20~26일 일주일간 KB·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은행의 신용대출 증가액은 2조8820억원으로 직전 일주일(13~19일) 4679억원보다 6배 이상 늘어났다.
같은 기간 마이너스통장 대출도 급격히 늘어났다. 이번주 마이너스통장 신규 개설 건수는 1만5366건으로 직전 일주일 9520건 대비 61% 증가했다. 마이너스통장 잔액 증가분 역시 2조6921억원으로 직전 일주일 증가분(3453억원)의 8배에 육박했다.
이러한 대출급증은 정부가 가계대출 규제에 본격적으로 나설 것이라는 전망에 규제 시행전 대출을 받으려는 움직임이 쏠린 것으로 분석된다.
앞서 금융감독원은 지난 13일 시중은행 여신담당 임원들과의 회의를 열고 신용대출 한도를 연 소득 수준으로 낮춰달라고 구두 지도했고 27일까지 구체적인 신용대출 한도 관리 계획서를 제출할 것을 지시했다.
이에 KB·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은행과 외국계 은행인 씨티·SC제일은행, 인터넷은행인 카카오뱅크·케이뱅크 등은 지난 27일 금융감독원에 신용대출 한도를 연소득 이내로 낮추겠다는 계획서를 제출했다.
저축은행업계 역시 금융감독원으로부터 같은 내용의 협조요청을 받았고 25일 금융당국의 지침을 준수하겠다고 밝힌 상태다.
이에 다음달부터는 사실상 전 은행권에서 신용대출과 마이너스통장 등의 대출 한도를 축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5대 은행 중 올해 들어 가계대출 증가율이 가장 높았던 NH농협은행의 경우 정부의 압박에 지난 24일부터 신규 신용대출한도를 기존 2억원에서 '1억원 이하, 연 소득의 100%'로 축소한 상태다. 하나은행도 이미 27일부터 신용대출 한도를 연 소득 이내로 제한하기 시작했다. KB국민은행 역시 신용대출 한도가 연봉 이내로 줄어들 예정이다.
마이너스 통장 한도는 5000만원이 최대치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하나은행은 27일부터 마이너스통장 대출 한도를 1인당 최대 5000만원으로 줄였다. 우리은행과 신한은행은 올해 초부터 마이너스통장 한도를 5000만원으로 낮춘 상태다. KB국민은행 역시 조만간 마이너스통장 한도를 5000만원 이하로 조정할 예정이다.
대출금리 역시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은행은 26일 기준금리를 0.5%에서 0.75%로 0.25%p 인상했다.
시장에서는 한국은행이 올해 한 번 더 기준금리를 0.25%p 올릴 가능성이 높다고 예상하고 있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코로나19에 따른 이례적인 금리인하로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어 앞으로 경기 개선에 맞춰 금리를 정상화할 것”이라며 “추가금리인상은 서두르진 않겠지만 지체하지도 않겠다”라고 밝힌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