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기준금리 0.25%p 인상
대출 이자 10만원 전후 증가에 그쳐
“집값 상승 기대감·수급 불안···매수세 지속”

26일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인상했지만 전문가들은 집값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한 수준이라고 입을 모았다. / 그래픽=시사저널eDB

[시사저널e=길해성 기자] 한국은행이 15개월 만에 금리인상을 단행한 가운데 부동산 전문가들은 충격파가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사실상 초저금리 시대가 끝나면서 차입을 활용한 주택 매입에 제한은 있겠지만, 금리인상으로 이자액이 약간 늘어나는 만큼 매수세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다고 봤다.

26일 한국은행이 0.25%p 인상에 나서며 기준금리가 0.75%로 높아졌다. 지난해 5월 0.75%에서 0.5%로 기준금리 인하를 단행한 후 15개월 만에 다시 상승으로 돌아선 것이다.

전문가들은 이자부담이 커지며 ‘레버리지’(leverage) 효과가 다소 반감될 수 있다고 봤다. 6월 기준 신규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2.74%, 상호금융권의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2.94% 수준이다. 하지만 이번 기준금리 인상으로 상호금융권의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3% 초반을 기록할 전망이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종전보다 주택담보대출 이자 부담이 증가하면서 저금리 대출을 활요한 주택 구매와 자산투자가 제한될 것이다”며 “투자수요가 감소하면 주택 거래량이 줄고 거래가격 상승 속도도 둔화될 수 있다”고 말했다.

변동금리 대출을 받은 차주는 시중금리 상승에 따라 이자상환 부담이 증가할 수 있지만 통상적인 개인대출의 경우 큰 타격은 없을 것으로 진단했다. 이은형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주택담보대출이나 신용대출 같은 개인대출은 대출액 자체가 몇 억원 수준이다”며 “때문에 금리가 오르더라도 그 결과는 월 부담하는 이자액이 약간 늘어나는 정도에 그칠 것이다”고 말했다. 이어 “개인이 아닌 차입자금의 운용규모가 큰 주체들(기업·자산운용사·PF시행사 등)일수록 이번 기준 금리인상을 체감할 가능성이 높다”고 덧붙였다.

그동안 대출 규제도 충격파가 크지 않은 요인으로 꼽힌다. 국내 가계대출의 규모가 큰 것은 맞지만 대부분이 주택담보대출이나 전세자금대출인 만큼 부도위험 등은 현저히 낮다고 봤다. 지금까지 LTV·DTI 대출 규제를 엄격히 해왔기 때문에 개인이 빌리고 싶은 만큼 대출을 끌어가지도 못했다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는 것이다.

금리인상에 따른 이자 부담이 소폭 증가하는 만큼 주택 매수세는 꺾이기 어려울 전망이다. 이 연구원은 “연 금리가 오르더라도 10만원 전후로 그칠 가능성이 높다”며 “이는 지금처럼 주택시장의 호황이 지속되면서 집값이 더 오를 것이라는 예상이 대세로 확정된 시점에서 주택 구입을 주저하기에는 미미한 요인이다”고 말했다.

집값 안정화도 기대하기 어렵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심교언 건국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지금 집값 상승은 수급 문제에서 비롯된 것이다”며 “집값이 하락을 하려면 공급량이 늘어야 하는데 지금 분양·입주 물량 모두 많지 않아 하락할 요인을 찾을 수 없다”고 말했다. 이어 “금리 인상을 했지만 여전히 0%대인 만큼 부동산 시장을 안정시킬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