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OTT 시장 규모 2025년 95조원 전망
“핵심 콘텐츠 없다면 플랫폼 미래 없어…지원 확대해야”
[시사저널e=이하은 기자] “OTT 관련 논의를 거버넌스와 규제 중심에서 콘텐츠 중심으로 바라볼 필요가 있다.”
이양환 한국콘텐츠진흥원 본부장이 24일 열린 ‘OTT환경에서 영상콘텐츠의 확장과 육성 방향’ 세미나에서 이렇게 말했다.
시장조사업체 옴디아에 따르면 글로벌 OTT 시장은 매년 10%씩 올라 2025년 약 95조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전문가들은 산업이 재편되는 시기에 우수 IP확보, 제작지원, 인력양성 방안 등 콘텐츠를 논의해야 할 때라고 입을 모았다.
◇ 핵심 콘텐츠 없으면 넷플릭스도 이용자 떠나
OTT 시대 콘텐츠 경쟁력은 그 어느 때보다 커졌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논의 주제는 플랫폼에 집중돼 왔단 지적이 나온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방송통신위원회, 문화체육관광부 등 관련부서 정책을 조율할 컨트롤타워 부재 문제는 단골로 거론되는 주제다.
임오경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OTT 시대에 영상콘텐츠 중요성은 그 어느 때 보다 강조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정책적 논의는 여전히 플랫폼과 네트워크에 머물렀다”며 “수많은 OTT 플랫폼의 가치와 경쟁력을 결정하는 기준은 영상콘텐츠“라고 강조했다.
콘텐츠가 플랫폼의 경쟁력과 직결되면서 우수 콘텐츠 확보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 플랫폼 사업자들은 독점적 콘텐츠를 만들기 위해 조 단위의 투자를 계획하고 있다. 넷플릭스는 올해 5500억원, 웨이브는 2025년까지 1조원, CJ ENM은 2025년까지 5조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카카오M, 스튜디오드래곤 등 제작사도 사업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이양환 본부장은 ‘OTT시대 콘텐츠의 중요성과 영상콘텐츠의 확장’을 주제로 한 발제에서 킬러콘텐츠 IP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넷플릭스 사례를 설명했다. 넷플릭스는 독점 콘텐츠인 오리지널 시리즈가 부진하면서 지난 2분기 가입자 수가 지난해보다 15% 감소했다.
이 본부장은 “킬러 콘텐츠가 없다면 넷플릭스도 언제든지 이용자가 이탈할 수 있다는 것”이라며 “OTT 시장은 무한경쟁 시장이고 결국 오리지널 콘텐츠의 경쟁”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미디어는 그릇, 콘텐츠는 내용물이다. 양질 콘텐츠가 지속해서 공급되지 않는다면 플랫폼의 미래는 없다”고 강조했다.
방송영상산업은 결국 IP 사업이란 지적도 나왔다. 그동안 제작사는 자체 판권을 전부 소유하는 경우가 드물었으나 OTT로 인해 공급자-제작사의 힘의 균형이 변화하는 추세다. 2020년 키이스트 ‘하이에나’, 에이스토리 ‘지리산’ 등은 제작사가 IP를 보유하게 되면서 ‘리쿱율(제작비 회수율)’이 130%~160%로 상향될 것으로 보인다.
최선영 연세대 교수는 “IP소유와 활용, 법적 매니지먼트 등 창작자가 계약우위에 설수 있는 제도적 지원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 “코로나19 장기화·인건비 상승 등 제작환경 어려워져”
전문가들은 콘텐츠 진흥을 위해 법제도 마련부터 제작환경 변화, 제작 지원, 인력 양성, 수출 지원까지 광범위하게 논의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특히, 콘텐츠 IP 확장이 핵심이기 때문에 원천 기획 개발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고중석 에그이즈커밍 대표는 “코로나19 장기화, 인건비 증가 등 제작환경이 어려워지고 있다”며 “우리나라 방송영상 산업이 대자본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는 상황에서 콘텐츠의 자율성과 창의성을 보장하기 위해 제작비 지원을 늘려야 한다”고 말했다.
올해 정부의 IP 금융지원 규모는 60억원 정도다. 넷플릭스는 5000억원을 투자한다. 이준호 호서대 교수는 “이정도 지원금으로는 한계가 있어 글로벌OTT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며 “국내OTT와 제작사간의 상생발전을 위해서도 정부가 글로벌 진출 등을 더욱 지원해야 한다”고 꼬집었다.
제작지원 사업이 현장 상황에 맞게 수정돼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최근 글로벌 시장을 겨냥해 영상콘텐츠를 제작하기 때문에 1년 단위의 지원사업에는 참여하기 힘들어 졌다는 것이다.
이민석 와이낫미디어 대표는 “사업의 내용과 방향도 변화하는 시장환경에 맞춰 조율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황희 문체부 장관은 “웹툰 영상화 등 장르 간의 벽이 무너지면서 콘텐츠 가치가 극대화되고 있다”며 “산업 생태계가 변화고 있는 시기에 정부 정책이 시대 변화와 요구에 뒤처지는 일이 없도록 하겠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