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12일 주총 거쳐 11월 SK텔레콤과 SK스퀘어로 분할
SKT, 오는 2025년 SK스퀘어 순자산가치 75조원 목표

SK텔레콤이 오는 11월 출범 예정인 신설투자사의 법인명을 'SK스퀘어'로 확정했다. 존속회사 법인명은 'SK텔레콤'으로 유지된다. 사진은 박정호 SK텔레콤 대표 / 사진 = SK텔레콤
SK텔레콤이 오는 11월 출범 예정인 신설투자사의 법인명을 'SK스퀘어'로 확정했다. 존속회사 법인명은 'SK텔레콤'으로 유지된다. 사진은 박정호 SK텔레콤 대표 / 사진 = SK텔레콤

[시사저널e=김용수 기자] SK텔레콤이 오는 11월 출범하는 반도체·ICT 투자 전문 신설회사의 법인명을 ‘SK스퀘어’로 확정했다고 17일 밝혔다. 존속법인명은 ‘SK텔레콤’으로 유지한다.

신설회사의 사명 ‘SK스퀘어’는 ‘광장’ 또는 ‘제곱’ 이란 의미를 가진 스퀘어를 통해 ICT 산업을 아우르고융합과 혁신을 통해 사회·주주와 함께 지속 가능한 미래 가치를 키우겠다는 비전을 담았다. 사업 재편을 통해 반도체 및 ICT 산업에서 투자와 혁신을 선도하겠단 의미다. SK스퀘어는 반도체 등 ICT 영역에서 투자와 기술 역량을 확보하고 글로벌 협력으로 ‘글로벌 ICT 투자전문기업’으로 성장할 계획이다.

박정호 SK텔레콤 대표는 “새롭게 출범하는 SK스퀘어는 글로벌 ICT 투자전문기업으로 도약해 반도체 등 미래 핵심산업을 진흥하고 생태계 활성화를 선도할 것”이라며 “이를 통해 대한민국 경제와 산업 발전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SK텔레콤은 지난 6월 이사회 결의를 통해 인적 분할을 공식화한 후, 통신·AI·디지털 인프라 기반 존속회사와 반도체·ICT 투자 전문 신설회사로 인적 분할을 추진 중이다. 오는 10월 12일 주주총회를 통해 최종 확정하면 11월 1일자로 SK텔레콤(존속회사)과 SK스퀘어(신설회사)로 나뉜다.

분할 후 새롭게 출범하는 SK텔레콤과 SK스퀘어는 각각 통신 기반의 AI·디지털 인프라 사업과 반도체·ICT 투자 영역에서 ‘SKT 2.0’ 시대를 열게 된다.

존속회사인 SK텔레콤은 5G와 홈미디어를 핵심 사업으로 구독·메타버스·엔터프라이즈 영역에서 신성장동력을 발굴할 계획이다.

SK스퀘어는 반도체·ICT 영역에서 ▲투자 및 M&A ▲뉴 ICT 포트폴리오 성장 ▲미래성장동력 창출 등을 통해 오는 2025년까지 순자산가치(NAV)를 현재의 세 배인 75조원 규모로 성장할 계획이다. 우선 반도체 분야에서 투자와 인수합병(M&A) 추진 등을 통해 SK하이닉스와의 시너지를 높일 예정이다. 이와 함께 정부와 민간이 함께 추진 중인 ‘K반도체 벨트’ 조성에 힘을 쏟을 방침이다.

또 앱마켓(원스토어), 커머스(11번가), 융합보안(ADT캡스), 모빌리티(티맵모빌리티) 등 뉴 ICT 영역에서도 투자와 협력을 통해 포트폴리오 강화를 지속 이끌며 성장을 가속화할 계획이다.

아울러 양자암호, 디지털 헬스케어, 미래 미디어 콘텐츠 등 고성장 미래혁신기술에 대한 선제 투자도 이어갈 계획이다. 이를 통해 창출한 수익은 다시 연구개발(R&D)에 재투자하는 미래기술 사업화 순환 구조를 구축하게 된다.

박 대표는 오는 10월 임시주주총회 및 이사회를 거쳐 11월 공식 출범하는 SK스퀘어 대표로 선임될 예정이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