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분기 화물 매출 1조5108억원···전년대비 23%↑
“경기 회복에 따른 기업 재고 수요와 IT·전자상거래 활성화로 화물수송 확대 기대”

/ 사진=대한항공
/ 사진=대한항공

[시사저널e=박성수 기자] 대한항공이 2분기 화물사업 부문에서 역대 최고 매출을 달성했다. 대한항공은 코로나19로 인해 여객 운항 감소로 인한 여객기 벨리(하부 화물칸) 수송이 줄어든 상황에서, 대형 화물기 기단을 활용해 수익성을 높였다.

13일 대한항공은 2분기 매출이 전년대비 16% 증가한 1조9508억원, 영업이익은 31% 증가한 1969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코로나19로 인한 여객 수요 위축에도 화물 수송 극대화 및 전사적인 비용 절감 노력으로 작년 2분기부터 5개 분기 연속 영업 흑자를 달성했다.

특히 화물사업 매출은 1조5108억원으로 사상 최고치를 달성했다.

대한항공은 화물사업 성장에 대해 “경기회복 기대에 따른 기업들의 재고 확충으로 인한 수요 증가와 해운 공급 적체로 인한 긴급물자들이 항공수요로 전환된 결과”라고 설명했다.

또한 항공 수요 대비 공급 부족이 계속되면서 운임 강세가 이어진 것도 영향을 미쳤다.

대한항공은 지난해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발 빠르게 화물사업을 확장하며 피해를 최소화했다. 지난해 3월부터 올해 6월까지 대한항공이 여객기에 화물만 실어 나른 ‘화물전용여객기’를 운항한 횟수는 총 9000회다. 월평균 550회를 넘는 수치다.

또한 중국, 일본 등 전세계 65개 노선에 화물전용 여객기를 띄웠고, 40만톤에 달하는 물량을 수송했다.

여객사업의 경우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 확산에 따라 부진이 이어지고 있다. 대한항공은 위기 상황에도 국제선 전세기 및 국내 제주노선을 중심으로 여객 수요를 회복하는데 집중하고 있다.

대한항공은 올 하반기 항공 화물 사업은 백신 접종률 증가와 변이 바이러스 확산 우려가 교차하며 불확실성이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다만 기업들의 재고 확충 수요와 경기 회복에 따른 IT·전자상거래 수요는 계속해서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 대한항공은 “글로벌 네트워크 및 화물기, 화물전용 여객기 등을 최대한 활용해 수익 극대화에 나설 계획”이라고 밝혔다.

하반기 여객사업의 경우 수요 부진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대한항공은 코로나19 추이를 지켜보며 선제적인 수요 확보에 나설 방침이다.

회사 관계자는 “주요 취항국의 입국 제한 정책, 백신 접종 추이, 백신 여권 도입 여부, 트래블 버블 확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탄력적으로 노선을 운영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