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서울 아파트 거래 중 20대 이하 매수 비중 5.5%
강남권 중심 증여도 늘어나···부 양극화 심화 우려도 나와
[시사저널e=송준영 기자] 20대 이하 세대의 서울 아파트 매수 비중이 두 달 연속 최고치를 나타난 것으로 분석됐다. 사실상 부모 도움 없이 대출만으로 서울 아파트 매수가 쉽지 않다는 측면에서 부의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7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아파트 매입자 연령대별 현황 통계에 따르면 지난 6월 서울 아파트 전체 거래(4240건) 가운데 20대 이하의 매수 비중은 5.5%(233건)이었다. 이는 부동산원이 해당 통계를 발표하기 시작한 2019년 1월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20대 이하의 서울 아파트 매수 비중은 증가 추세는 지난해 10월부터 시작했다. 당시 매수 비중은 5.1%로 사상 처음으로 5%를 넘겼다. 지난해 12월에는 5.3%로 최고치를 기록했다가 올해 1월(5.1%)과 2월(4.2%)은 다소 비중이 줄었다.
20대 이하의 서울 아파트 매수 비중이 다시 늘어난 것은 올해 3월부터였다. 3월 4.5%, 4월 5.2%를 기록했다. 5월에는 5.4%로 당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20대 이하의 매수 비중을 지역별로 살펴보면 영등포구가 11.6%로 가장 높았다. 뒤이어 종로구(9.7%), 강남구(8.0%), 금천구(7.8%)의 순이었다. 서대문구(7.5%)와 도봉구(7.4%), 구로·중랑구(7.1%), 서초구(6.5%), 노원구(6.1%), 관악구(6.6%), 강동구(5.5%) 등도 평균을 넘었다.
특징적인 점은 강남권에서도 거래가 활발해졌다는 점이다. 강남권은 고가 아파트가 많아 자금이 많이 필요한 곳이다. 실제 서울에서 아파트값이 가장 비싼 강남구에 20대 이하 매수 비중은 3월 1.8%에서 6월 8.0%로 크게 높아졌다.
이는 사실상 부모 도움 없이 아파트를 마련하기 쉽지 않다는 측면에서 부의 양극화가 심화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KB국민은행 조사 기준 서울의 중소형(전용면적 60㎡∼85㎡) 아파트값은 평균 10억원 수준이다. 소득 수준이 높더라도 소득만으로 아파트 매수가 쉽지 않은 것으로 평가된다.
이미 강남권 아파트를 중심으로 증여 건수가 늘어나고 있다는 점도 주목된다. 송파구의 6월 증여는 629건으로 전월(82건)보다 7.7배 증가했다. 강남구에서도 6월에는 298건의 증여가 신고됐는데 이는 전달(171건)과 비교해 1.7배 늘어난 것이다. 송파구와 강남구를 합치면 전체의 55.0% 수준으로 서울 전체 증여의 절반을 넘겼다.
한 부동산업계 관계자는 “다주택자들이 집을 처분해 양도소득세를 내는 것 보다 증여세를 내고 자녀에게 집을 물려주는 것이 더 낫다고 판단하고 있다”며 “부동산 가격이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상황에서 부모 지원으로 집을 산 2030세대 및 부모로부터 아파트를 증여받은 젊은 세대들과 그렇지 못한 사람들과의 부의 격차는 더욱 벌어질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