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중공업, 中CGN에 납품하지만 영향 제한적일 듯
영국 발주 규모 한계 있지만, 세계적으로 배제 움직임 확산되면 기회 찾아올 수도
[시사저널e=엄민우 기자] 영국이 원전 사업에서 중국 기업을 배제할 수 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국내 업계에 어떤 영향을 줄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아직 섣불리 판단하긴 이르지만 전 세계로 관련 움직임이 확산될 경우 국내 업체도 수혜를 볼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28일 블룸버그에 따르면 영국 정부는 원전 사업과 관련, 중국 국영기업인 중국핵전집단공사(CGN)을 배제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당장 200억파운드(약 31조6000억원) 규모의 시즈웰 C 원자력발전소 건설과 에식스 인근 브래드웰 해상 발전사업과 관련해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CGN은 현재 영국 내 발전소 사업 등에 대규모 투자를 이어가고 있다.
영국이 이 같은 방안을 고려하는 것은 정치외교적 이유로 분석된다. 영국은 중국 자본이 소유한 네덜란드 반도체 회사가 영국 최대 반도체 회사 '뉴포트 웨이퍼 팹'을 인수하자 보조금 지급을 중단하고, 화웨이가 영국의 5G 네트워크 사업에 진출하는 것도 금지한 바 있다.
어쨌든 영국 원전사업에서 중국이 배제될 가능성이 생기면서 한전KPS, 두산중공업 등 국내 기업들에게 어떤 영향을 줄지 주목된다. 우선 부정적 영향은 없을 것이란 전망이다. 두산중공업이 CGN과 거래하고 있지만 이와 관련해서도 별 영향이 없다는 것이 중론이다. 두산중공업은 올 3월 CGN 자회사 CTEC와 원전계측제어시스템의 주요 기자재 지진자동정지설비 계약을 체결하기도 했다.
업계 관계자는 “어차피 CGN이 배제되면 다른 기업이 자리를 대신하게 되는 것”이라며 “두산이 CGN하고만 중점적으로 거래하는 것이 아닌 만큼, 별 영향은 없다고 본다”고 분석했다.
영국 시장규모 등을 봤을 때 한국기업이 수혜를 볼지 여부에 대해선 아직은 낙관하기에 조심스러운 상황이다. 다만 정치외교적 이유로 중국 원전이 배제되는 상황이 확신될 경우 일부 기회가 발생할 가능성은 있을 것으로 보인다. 황성현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경제성 문제로 영국 내 대형원전 발주계획이 2024년까지 11개에서 1개 정도 축소돼 입찰기회가 늘어난다고 해도 제한적일 것”이라며 “다만 전세계적으로 CGN 배제 움직임이 이어지면 미국과 한국 컨소시엄에게 기회가 될 수는 있다”고 분석했다.
반도체 부문과 마찬가지로 원전 수주 역시 국제정치의 영향을 받고 있다. 이 때문에 몇몇 국가끼리 제로섬(zero-sum) 게임의 흐름을 보이는 원전 사업에서 특정국가의 배제는 다른 국가에게 기회가 되는 양상이다. 예를 들어 폴란드의 경우 러시아 원전을 배제하겠다고 하는 상황이어서 한국이 상대적으로 유리하다.
이런 가운데 내년 3월 대선을 앞둔 시점에 현재 탈원전 기조인 정부의 정책 방향이 어떻게 변화할지 여부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국내에서 인큐베이팅이 계속 이뤄져야 해외에서 대형 수주도 할 수 있는 것”이라며 “수주와 관련해 원전 정책 방향도 중요하다고 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