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선 회장이 대신 헌액식 참석···“전세계 직원·딜러·고객 있었기에 가능”
[시사저널e=박성수 기자] 정몽구 현대자동차그룹 명예회장이 세계 자동차 산업 최고 권위 ‘자동차 명예의 전당’에 한국인 최초로 헌액됐다.
현대차그룹은 자동차 명예의 전당이 22일(현지시각) 미국 디트로이트에서 ‘2020·2021 자동차 명예의 전당 헌액식’을 열고 정몽구 명예회장을 자동차 명예의 전당에 헌액했다고 23일 밝혔다.
정 명예회장의 자필 서명이 음각된 대리석 명판도 디트로이트 자동차 명의 전당 기념관에 영구 전시됐다.
1939년 설립된 미국 자동차 명예의 전당은 세계 자동차 역사에 길이 남을 뛰어난 성과와 업적을 토대로 자동차산업과 모빌리티 발전에 중대한 역할과 기여를 한 인물을 엄선해 ‘명예의 전당’에 헌액한다.
역대 수상자는 1967년 포드 창립자 헨리 포드, 1969년 발명가 토머스 에디슨, 1984년 벤츠 창립자 칼 벤츠, 1989년 혼다 창립자 혼다 소이치로 2018년 토요타 창립자 토요타 기이치로 등이 있다.
정 명예회장은 2001년 ‘자동차산업 공헌상’을 받은데 이어 이번에 ‘자동차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면서 세계 자동차 산업에서 공로를 인정받았다.
헌액식에는 정 명예회장을 대신해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이 수상자로 참석했다. 정의선 회장 뿐 아니라 정 회장 부인 정지선씨를 비롯해 정성이 이노션 고문, 선두훈 영훈의료재단 이사장, 정태영 현대카드·현대캐피탈 부회장, 정명이 현대카드·현대캐피탈 브랜드 부문 사장, 정윤이 해비치호텔앤드리조트 사장 등 가족들도 함께 했다.
정 회장은 “정 명예회장은 자동차 명예의 전당에 헌액된 것을 영광스러워했으며 현대차그룹의 성장과 함께 전세계 직원, 딜러 뿐 아니라 현대차와 기아를 신뢰해준 고객이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말했다”고 정 명예회장의 소감을 전했다.
이어 “아버지는 현대차그룹을 존재감이 없던 자동차 회사에서 세계적 기업으로 성장시켰다. 탁월한 품질과 성능을 향한 열정은 현대차그룹의 제품이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토대가 됐다”고 존경심을 표했다.
정 회장은 “현대차그룹은 새로운 도전과 기회에 직면해 있다”며 “우리는 최고의 모빌리티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해 멈추지 않겠다. 기존의 틀을 과감히 탈피하고 인류를 위한 진보라는 사명을 실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헌액식에는 정 명예회장에 대한 인터뷰, 경영활동과 업적을 조명한 헌정 영상이 상영됐다.
이형근 현대차 정몽구재단 부이사장(기아 전 부회장)은 영상에서 “정 명예회장 집무실에 있는 커다란 세계지도에는 곳곳마다 현대차와 기아를 나타내는 스티커들이 부착돼 있었다”며 “정 명예회장은 회의 때마다 지도를 가리키며 질문들을 쏟아내곤 했다. 정 명예회장은 전세계에 위치한 거점들을 자주 방문했고, 언제나 직원들을 따뜻하게 살폈다”고 말했다.
정 명예회장은 기아 인수를 주도해 인수 첫해만에 흑자로 전환시켰고, 현대차·기아를 세계 5위권 자동차 회사로 성장시켰다. 또한 품질 경영 철학을 바탕으로 세계 어느 곳에서나 균일하게 고품질 생산공장을 적기에 건설할 수 있는 표준공장 건설 시스템을 확립했다.
미국시장에서 실시한 '10년 10만 마일' 보증 카드는 현대차·기아가 글로벌 강자로 성장하는 토대가 됐다.
정 명예회장은 혁신 리더십과 경영철학을 인정받아 ▲2004년 ‘비즈니스 위크’ 최고 경영자상 ▲2005년 ‘오토모티브뉴스’ 자동차 부문 아시아 최고 CEO ▲2009년 미국 ‘코리아 소사이어티’ 밴 플리트상 ▲2012년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 세계 100대 최고 경영자상 등을 수상했다.
한편 올해 행사는 코로나 19로 인해 2020년 및 2021년 통합 행사로 열렸다. 정 명예회장을 비롯 2020년 선정된 토마스 갤러허 제뉴인 파츠 전 회장, 헬렌 로더 아퀘트 전 GM 자동차 디자이너 등이 함께 헌액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