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시, 아파트값 상승률 1위···김포·의정부·남양주 40% 올라
“서울 매매·전세 폭등 ···주거 부담 덜한 곳으로 이동 뚜렷”

 

/ 자료=국토교통부, 경제만랩
/ 자료=국토교통부, 경제만랩

[시사저널e=길해성 기자] 경기도에서 외곽으로 불리는 고양시, 김포시, 의정부, 남양주시 등의 아파트 매매가격이 1년간 40% 이상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의 연이은 부동산 대책에도 서울 아파트값이 계속 치솟자 비교적 집값이 저렴한 지역으로 매수세가 옮겨갔다는 해석이 나온다.

11일 KB부동산 리브온의 주택가격동향을 살펴보면 경기도에서 1년 전에 비해 집값이 가장 많이 오른 지역은 고양시다. 고양시 3.3㎡당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지난해 6월 1352.7만원에서 지난달 1969.8만원으로 상승했다. 1년 새 집값이 45.6% 오른 것이다. 이어 김포시가 45%, 의정부 44.5%, 남양주 43.8% 등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이들 지역의 상승세는 실거래가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무원마을’ 전용 71.55㎡는 지난달 11일 6억200만원에 거래됐다. 지난해 6월 3억7000만원 대비 2억3200만원 올랐다. 상승률은 62.7%에 달했다. 같은 기간 김포시 장기동 ‘고창마을’ 전용 84.85㎡는 3억2000만원에서 5억2000만원으로 올라 62.5%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의정부시 낙양동 ‘반도유보라아이비파크’ 전용 78.73㎡는 지난해 6월 3억4500만원에 실거래가 이뤄졌다. 하지만 지난달에는 5억2800만원에 손바뀜이 이뤄졌다. 1년간 1억8300만원 오르고 53.0% 상승률을 보였다.

업계에선 정부과천청사 용지 주택 공급 백지화 등 추진하던 수도권 도심 내 신규 택지 공급 계획이 흔들리고, 임대차3법의 영향으로 전셋값마저 폭등하자 더 늦기 전에 아파트를 매입하려는 수요가 늘어난 것으로 본다.

황한솔 경제만랩 리서치연구원은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과 전셋값이 폭등하면서 주거 부담이 덜한 곳으로 이동하는 현상이 지속되고 있다”며 “서울에 이어 이제는 서울 접근성이 좋아지는 경기도 부동산 시장도 한동안 상향 분위기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편 아파트 가격이 치솟자 경기도 상업·업무용 부동산 시장도 덩달아 관심이 커졌다. 경기도 상업·업무용 거래량은 지난해 1~5월 4만36건에서 올해는 4만9462건으로 1년 새 23.5% 상승했다. 의정부도 같은 기간 820건에서 1138건으로 38.7% 치솟았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