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 두 번째 많은 수치···중대본 “수도권서 14일까지 기존 2단계 적용”
감염병 전문가 “거리두기 단계 상향해야”···일각선 책임자 사퇴 거론도

6일 서울 중구 서울역에 마련된 코로나19 선별검사소에 진단 검사를 받으려는 시민들 행렬 아래 낡아버린 사회적 거리두기 안내 스티커가 붙어 있다. / 사진=연합뉴스
6일 서울 중구 서울역에 마련된 코로나19 선별검사소에 진단 검사를 받으려는 시민들 행렬 아래 낡아버린 사회적 거리두기 안내 스티커가 붙어 있다. / 사진=연합뉴스

[시사저널e=이상구 의약전문기자]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1200명을 넘어섰다. 이를 놓고 전문가들은 그동안 정책을 집행한 정부 오판이 중요 원인이라고 입을 모았다. 특히 방역을 위해 강력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7일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코로나19 신규 학진자는 1212명이다. 이중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1168명이다. 해외유입 사례는 44명이 확인됐다. 총 누적 확진자 수는 16만2753명이다. 이날 신규 확진자 1212명 수치는 국내 코로나19 사태 이후 지난 연말 3차 유행의 정점(12월 25일, 1240명)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수치이자 194일 만의 1200명대 기록이다.

코로나 상황이 이처럼 악화됨에도 정부는 특별한 대책을 내놓지 않았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수도권 지역에서 새로운 거리두기 체계 개편을 일주일간 더 유예하고 이달 14일까지 기존 2단계 조처를 적용한다고 이날 발표했다.

이에 감염병 전문가들은 무엇보다 정부의 잘못된 판단이 확진자 증가를 초래했다고 비판했다. 이들은 향후 거리두기 단계 상향 조정 등 강력한 조치를 요청했다. 일부 전문가는 책임자 사퇴 등을 거론하기도 했다. 

이재갑 한림대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정부의 커뮤니케이션 미스가 확진자 증가의 중요 원인”이라며 “방역 완화를 추진하지 말아야 할 시기에 정부가 착오를 저질렀다”고 비판했다. 이 교수는 “현행 사회적 거리두기를 수도권에서 일주일 연장한 정부가 무슨 생각을 하는지 모르겠다”며 “강력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정부가 국민들에게 조금만 노력하면 코로나 위기를 끝낼 수 있다는 내용의 메시지를 보여줘야 한다”며 “현실적으로 거리두기 단계를 올리는 것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이 교수는 “당분간 코로나 확진자는 올라갈 것”이라며 “증가세를 유지할 가능성이 많다”고 전망했다. 

천은미 이대목동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코로나 3차 유행이 집단감염 위주라면 4차 유행은 델타 변이를 포함한 개인감염으로 보면 된다”고 정리했다. 천 교수는 “젊은 층을 중심으로 감기처럼 코로나가 오고 있다”며 “전파 속도가 빨라 강력한 조치라 필요한 상태”라고 전했다.

그는 “새로운 거리두기 단계를 기준으로 수도권은 4단계, 지방은 3단계를 시행해야 한다”며 “전국단위 코로나 유행은 시간문제”라고 강조했다. 천 교수는 “강력한 방역 조치를 시행해 짧고 굵게 가야 한다”며 “확진자는 당분간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했다. 

김우주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정부의 상황 오판과 느슨한 정책이 확진자 증가의 원인”이라며 “이같은 조치가 국민들 경각심 해이를 초래했다”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정부는 20대와 30대가 문제라는 투로 말하니 답답하다”며 “방역 책임자 사퇴나 문책 등 강력한 조치를 시행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그가 거론한 책임자에는 권덕철 보건복지부 장관과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이 포함돼있다. 그는 “2주 전부터 주말에도 주말효과가 없어지는 등 4차 유행 조짐이 있었다”라며 “확진자는 더욱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데 정부는 사과도 안 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마상혁 대한백신학회 부회장은 “정부가 국민들에게 방역을 쉽게 생각하는 계기를 만들어 줬다”며 “전문가 소통 채널을 만들어야 하는데 지금은 전혀 없다”고 비판했다. 한 의료계 관계자는 “백신 접종이 마무리된 후 국정조사를 통해 코로나19 대응 정책 전체를 감사해야 한다”며 “이에 앞서 당장 대응체계를 들여다보고 개선점을 신속하게 도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