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 국립중앙박물관 부지 및 국립현대미술관 인근 송현동 부지 최종후보지 선정
[시사저널e=김도현 기자] 정부가 속칭 ‘이건희 미술관’을 서울 용산구 또는 종로구에 설립하기로 결정했다. 유치경쟁에 뛰어들었던 주요 지자체의 허탈감도 클 전망이다.
7일 황희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정부서울청사에서 고(故)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의 기중품을 전시하는 기증관 건립계획 등을 담은 ‘국가기증 이건희 소장품 활용방안’을 발표했다. 이 자리에서 황 장관은 기증관이 서울 용산 국립중앙박물관 부지와 조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인근 송현동 부지 중 한 곳에 지어질 것이라 밝혔다.
문체부는 4월 이 회장 유족이 문화재·미술품 총 2만3181점을 기증한 뒤 활용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별도의 전담팀과 전문가들로 구성된 ‘국가기증 이건희 소장품 활용위원회’를 운영해왔다. 전담팀·위원회 중심으로 총 10차례 논의를 거쳐 주요 원칙을 정립하고 단계별 활용방안을 마련했다는 게 황 장관의 설명이다.
황 장관은 “기증품을 통합적으로 소장·관리하며 분야와 시대를 넘나드는 조사·연구·전시 등이 실시되기 위해 별도의 기증관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됐다”면서 새로 건립되는 기증관과 국립중앙박물관·국립현대미술관 등과의 유기적인 운영할 계획임을 시사했다. 위원회는 이 같은 계획이 순조롭게 이행되는데 용산과 종로 부지가 최적이란 의견을 제출한 것으로 전해진다.
이건희 미술관 유치를 희망한 지자체들의 허탈감도 클 전망이다. 앞서 부산·대구 등 주요 광역자치단체를 비롯해 경기 수원·용인, 경북 진주·창원 등 고인의 연고지와 삼성의 사업장이 위치한 지역 등 30여 지자체가 유치 의사를 밝힌 바 있다. 서울에 주요 문화시설들이 집중됐음을 지적하며 새롭게 설립될 이건희 미술관이 지방에 위치해야 한다고 한 목소리를 냈다.
이를 의식한 듯 황 장관은 “지역의 문화시설 확충과 함께 이건희 기증품 관련 전시를 정례적으로 개최해 국민의 문화향유 기회를 지역에까지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고 알렸다. 문체부에 따르면 내년 하반기부터 연 3회 이상 지역별 대표 박물관·미술관 순회전시를 순차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한편, 이건희 컬렉션은 오는 21일부터 일반에 공개된다. 국립중앙박물관과 국립현대미술관은 '국가기증 이건희 기증품 특별 공개전'을 21일 동시에 개막한다. 국립중앙박물관은 2층 서화실에서 ‘위대한 문화유산을 함께 누리다 - 고(故) 이건희 회장 기증 명품전’을, 국립현대미술관은 서울관 1층에서 ‘이건희 컬렉션 특별전 ; 한국미술 명작’ 등이 열린다.
기증 1주년이 되는 내년 4월에는 국립중앙박물관과 국립현대미술관이 함께 하나의 공간에서 기증 1주년 기념 특별전을 개최할 예정이다. 이때 리움과 지방박물관·미술관의 소장품도 함께 전시하는 방안도 추진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