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전민영화 위해 주가 더 올라야···적극적 주주환원 필요
재원마련 등 준비 ‘한창’···실적 증대 전망은 '긍정적'
[시사저널e=유길연 기자] 금융당국이 ‘배당자제령’을 예정대로 이달 말에 종료하기로 결정하면서 금융지주의 중간배당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다. 특히, 완전민영화를 이루기 위해 주가 부양이 필요한 우리금융의 중간배당에 시선이 모인다. 우리금융은 낮은 자본비율을 기록하고 있기 때문에 올 한해 실적 증가 규모에 따라 중간배당 수준이 결정될 것으로 전망된다.
18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이날 은행과 은행지주회사에 대한 자본관리 권고를 이달 말 종료하기로 결정했다. 금융당국은 이달까지 은행권에 배당을 자제하고 손실흡수력을 끌어올리라고 주문한 바 있다. 금융지주는 다음달부터 내부 사정에 따라 중간배당 등 배당정책을 자유롭게 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우리금융은 주요 금융지주 가운데 주가 상승이 가장 필요한 입장이다. 우리금융은 아직도 총 주식 가운데 17.25%를 정부가 소유하고 있다. 외환위기 직후 정부가 투입한 공적자금이 회수되지 않은 상황이다.
정부가 나머지 지분을 속히 처분하기 위해서는 우리금융 주가는 지금보다 더 올라야 한다. 현재 우리금융 주가는 1만1000원 후반대를 유지하고 있다. 정부가 본전치기로 지분을 정리하려면 1만2000원 선을 넘어야 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최근 주가 상승세를 더 이어가야 할 필요가 있다.
주가를 올리기 위한 방법 중 하나는 중간배당 등을 통해 배당을 많이 하는 것이다. 우리금융의 정관은 중간배당이 가능하도록 돼 있어 제도적으로 걸림돌은 없다. 배당 재원 마련을 위해 지난 3월 정기주총 때 자본준비금 가운데 일부를 이익잉여금으로 옮겼다. 손태승 우리금융 회장도 “배당 성향을 2023년까지 30%까지 상향할 계획”이라며 주주환원에 대한 의지를 드러냈다.
우리금융은 현재 현금자산, 이익잉여금 규모만 놓고 보면 중간배당은 충분히 가능한 상황이다. 다만, 재무건전성 지표인 국제결제은행(BIS) 자기자본비율이 걸림돌이다. 우리금융은 BIS비율 지표 중 하나인 보통주자본비율(CET1)이 10.04%다. 주요 금융지주 가운데 가장 낮다.
금융지주와 은행은 타인 자본으로 사업을 하는 비중이 크기 때문에 재무건전성에 대한 규제가 엄격하다. BIS비율은 재무건전성의 핵심 지표로, 금융지주의 손실흡수력을 측정한다. 이 지표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자기자본을 늘려야한다. 금융지주는 배당 규모를 BIS비율에 따른 한도 내에서 정한다. 배당을 많이 하면 그만큼 자기자본 규모가 줄어들어 지표가 하락하기 때문이다.
우리금융은 보통주자본비율 10%선을 지키면서 배당을 해야하는 입장이다. 당국은 규제는 풀었지만 여전히 금융지주들이 배당을 자제해 높은 수준의 손실흡수력을 유지할 것을 원하고 있다. 금융위는 이날 규제를 풀면서도 "코로나19 관련 불확실성이 완전히 해소되지 않은 상황 등을 충분히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이런 상황에서 보통주자본비율이 한자리대로 내려간다면 당국의 감독이 강화될 가능성이 있다.
우리금융이 중간배당을 한다면 900억원 내외가 될 것이란 관측이 제기된다. 작년 배당성향을 1년 전 대비 낮춘 부분에 해당하는 규모다. 지난해 우리금융은 당국의 권고를 따라 배당성향을 19.89%로 7%포인트 낮췄다. 배당성향을 유지했다면 약 930억원을 더 배당금으로 책정했어야 했다. 3월 말 보통주자본비율 기준으로 900억원의 배당을 한다고 가정하면 10%대를 겨우 유지한다는 계산이 가능하다. 당국이 아직도 중간배당을 자제하길 원하는 상황을 고려해보면 중간배당을 하기엔 무리가 있다는 평가가 가능하다.
하지만 우리금융의 올해 순익이 급증할 가능성이 크다는 점은 중간배당을 하기에 유리한 조건이 되고 있다. 우리금융은 2분기에 경상이익 증가와 함께 지분법 이익 등 대규모 일회성 이익을 거둘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순익이 크게 늘어나면 보통주자본비율 개선 폭도 커져 배당 여력도 늘어난다. 이를 고려하면 900억원대의 중간배당은 가능하다. 배당 규모를 더 늘릴 수도 있다.
우리금융 관계자는 “우리금융은 이번 배당제한 종료에 따라 올해 실적개선을 바탕으로 다양한 주주환원정책을 종합적으로 검토할 예정이다”라며 “또 코로나19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해 실물부문에 대한 지원에도 최선을 다할 계획이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