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용 부회장, 부정거래·시세조종 혐의 세 번째 공판
삼성증권 전직 직원 증인신문···“지배구조 개선안” 답변

/ 사진=연합뉴스
/ 사진=연합뉴스

[시사저널e=주재한 기자]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승계 계획이 담겼다는 ‘프로젝트G’ 문건을 작성한 삼성증권 전직 직원이 20일 이 부회장 재판에 출석해 “지배구조 개선안”이라고 답변했다. 프로젝트G 문건의 목적이 ‘대주주의 영향력 강화’라고 보는 검찰은 증인의 모호한 답변이 이어지자 “당연히 기억할 수 있는 내용까지 모르겠다고 한다”고 지적했다.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5-2부(박정제·박사랑·권성수 부장판사)는 이날 오전 10시 자본시장법상 부정거래행위와 시세조종 등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이 부회장을 비롯한 전·현직 삼성 임원 11명에 대한 세 번째 공판을 열고 삼성증권 전 직원 한아무개씨에 대한 두 번째 증인신문을 진행했다.

한씨는 2004년부터 2018년까지 삼성증권에서 근무하며 검찰이 삼성전자의 미래전략실(미전실) 주도로 만들어졌다고 보는 승계 계획안 ‘프로젝트G’를 포함해 다수의 승계 문건 작성에 관여한 의혹을 받고 있다. 검찰은 금산결합과 순환출자로 지배력을 유지하던 이 부회장이 순환출자 규제 등으로 지배력을 상실할 위험에 놓이자 프로젝트G를 통해 삼성물산과 제일모직의 합병을 계획적으로 추진했다고 본다.

한씨는 지난 기일 프로젝트G 문건 작성 배경을 “삼성그룹 지배구조를 어떻게 개선할 수 있을지 전체적인 아이디어를 모아 정리한 것이다”며 “당시 규제 등 여러 이슈들이 있어 어떻게 대응하는 게 삼성그룹 입장에서 안정적으로 해소할 수 있을지 종합한 보고서다”고 설명한 바 있다.

이날 검찰의 질문에도 “단순히 지배구조 문제를 어떻게 해소해서 그룹이 가진 경영권을 안정화시키느냐, 보호하느냐는 목적으로만 작성한 보고서다”라고 답했다.

프로젝트G 문건의 업데이트 버전으로 불리는 ‘그룹 지배구조 이슈’ 문건에 대해서는 “정확한 상황을 기억하지 못하고 요청에 따라 문건을 작성했던 것 같다”고 말했다. 미전실의 요청에 따른 것이냐는 검찰의 질문에는 “정확히 기억하기 어렵지만, 이런 것을 검토할 때는 미전실과 대응했다”며 모호한 답변을 이어갔다.

검찰은 한씨를 향해 “본인이 했던 업무이고 경험한 일인데 기억할 수 있는 부분까지도 잘 모른다는 취지로 얘기한다. 잘 기억해서 답변하라”고 목소리를 높이기도 했다. 한씨는 “오래전 일인데다 이런 검토가 너무 많았다. 양해해 달라”고 했다.

한씨는 문건대로 합병이 진행된 것을 두고 자신의 의견이 반영됐다고 생각했느냐는 질문에 “보고서에 언급한 것과 유사하게 실제 진행됐을 순 있겠으나 어떤 논의와 배경을 거쳐 최종적으로 의사결정이 됐는지는 모르겠다”고 했다.

이 부회장은 안정적인 경영권 승계를 위해 부정거래행위, 시세조종, 업무상배임 등의 각종 불법행위를 통해 2015년 삼성물산·제일모직 합병을 진행했다는 혐의를 받고 있다. 검찰은 삼성그룹이 수년간 계획한 프로젝트G가 승계계획안이라고 보고 핵심 증거로 제시하고 있다. 반면 이 부회장 측은 제일모직과 삼성물산의 합병 및 삼성바이오로직스의 회계 처리는 “통상적인 경영활동”이라고 강조하며 범죄라는 검찰 시각에 전혀 동의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