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주권시민회의, 완성차 업체의 중고차 시장 진입 관련 1000명 설문조사
완성차의 인증중고차 진입 ‘긍정적’ 68.6%···중고차시장 개선 필요 79.9%
[시사저널e=박성수 기자] 소비자 10명 중 7명이 국내 완성차 업체의 인증 중고차 판매에 찬성 입장을 표했다. 또 10명 중 8명은 현 중고차 시장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으며 개선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15일 소비자주권시민회의는 중고차시장에 대한 소비자 설문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설문조사는 리서치 전문기관 ‘한길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2일부터 5일까지 나흘간 진행했으며, 전국 20~60대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오차범위는 ±3.1%p다.
중고차 시장에 대한 인식을 묻는 질문에 79.9%가 개선이 필요하다고 응답했으며, 개선이 필요없다는 의견은 8.9%에 불과했다.
매매 시장의 문제점에 대해서는 54.4%가 허위·미끼 매물이라고 응답했고, 가격산정 불신(47.3%), 주행거리·사고이력조작 및 비정품 사용에 따른 피해(41.3%)가 뒤를 이었다.
응답자 중 절반에 가까운 42.9%는 중고차 매매업을 보호할 필요가 없다고 답했다. 그 이유에 대해 ‘소비자 피해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고 피해 발생시 구제받기 어려워서’라고 응답한 사람이 61.6%에 달했다.
완성차 업체의 중고차 시장 진입과 관련해서는 56.1%가 긍정적이라고 응답한 반면 부정적인 의견은 16.3%에 불과했다. 이중 매우 부정적이라고 답한 의견은 5%에 그쳤다.
완성차 업체의 인증중고차 판매에 대해서는 68.6%가 긍정적이라고 답했으며, 가장 큰 이유로는 ‘국산차 소유자도 제 값 받고 중고차를 팔 수 있는 기회가 확대되기 때문(47.4%)’을 꼽았다. 다음으로는 ‘완성차 제조사가 직업 인증판매한 중고차를 신뢰할 수 있어서(43.5%)’, ‘소비자 선택권이 확대되기 때문(40.5%)’ 순이었다.
소비자주권은 이같은 설문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완성차 업체도 인증 중고차 형태로 판매하는 것을 허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미국과 독일에서는 완성차 업체가 직접 중고차 품질과 서비스를 관리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전체 중고차 업계 경쟁력 및 소비자 신뢰 향상으로 시장 규모가 커지는 효과를 불러일으켰다고 설명했다.
현대차그룹의 독과점 우려에 대해서는, 완성차 업체 인증 중고차 거래 비중이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도록 시장 점유율 상한제를 도입할 것을 제안했다. 또한 완성차 기업은 매집한 중고차에 대해 오픈 플랫폼을 통해 품질, 평가, 가격 산정을 명확히 공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완성차 업체의 중고차 시장 진입 허용 여부를 결정할 중소벤처기업부를 향해서도 더 이상 미루지 말고 이른 시일 내 조속히 결정할 것을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