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슬라 ‘모델3’ 3186대 판매, 서울시 보조금 28.6% 신청···이달 말 ‘모델Y’ 인도 시작, 빠른 기간 내 소진 전망
현대차 ‘아이오닉5’·기아 ‘EV6’ 생산차질···추경·분기별 할당 등 필요성 제기

/사진=이창원 기자
테슬라 모델 Y 등이 전시돼 있다. / 사진=이창원 기자

[시사저널e=이창원 기자] 최근 현대자동차·기아 등 국내 완성차기업이 잇따라 신형 전기차를 출시하며 ‘흥행몰이’를 하고 있는 가운데 보조금 지원 여부가 변수로 떠오르고 있다. 테슬라가 국내 소비자 인도에 속도를 올리면서, 전기차 보조금이 빠르게 소진되고 있기 때문이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테슬라는 ‘모델3’를 3186대 판매했다. 올해 초 주문이 시작된 물량이 본격적으로 국내에 들어오면서다.

특히 ‘모델3’(롱레인지) 가격을 480만원 인하한 5999만원으로 책정하며 보조금 전액을 지원 받을 수 있도록 한 테슬라의 전략이 적중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실제 서울시 보조금 지급예정대수 5067건 중 1437건(28.6%)의 보조금 신청이 이뤄진 상황이다.

테슬라가 이달 말부터 ‘모델Y’ 인도도 시작한다는 계획인 만큼, 전기차 보조금은 지난해보다 빠른 기간 내에 소진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앞서 지난해 9월 서울시의 보조금이 모두 소진돼 계약 취소가 이어진 바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현대차 ‘아이오닉5’, 기아 ‘EV6’는 6만대 이상의 사전예약을 기록했지만, 현재 차량용 반도체 수급 문제로 생산에 차질을 빚고 있다. 울산1공장의 경우 지난 7일부터 14일까지 휴업한 상태이고, 오는 7월 인도될 예정인 기아 ‘EV6’의 경우에도 일정이 미뤄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차량이 출고되는 순으로 한정된 보조금이 지원되는 만큼 ‘아이오닉5’, ‘EV6’의 사전예약 소비자 일부는 보조금 혜택을 받지 못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는 것이다. 이에 소비자들은 1000만원이 넘는 돈을 내고 전기차를 인도 받아야 하는 만큼, 대체로 계약을 취소하거나 인도시기를 내년으로 연기할 가능성이 높다.

정부는 지난 1월 전기차 보조금 체계를 개편하면서, 승용·화물·승합 전기차 보급 목표 대수를 2만100대(전기승용차 7만5000대, 지자체 보조금 지급대상 7만대)로 정했다. 하지만 서울시의 경우 환경부가 정한 보조금 지원 대수는 1만대이지만, 실제 지원 대수는 5067대에 그치는 등 지자체의 예산마저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상황이 이러하자 국내 완성차기업을 중심으로 보조금 추경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정부도 5~6월 전기차 보조금 관련 추경을 지자체별로 실시한다는 계획이지만, 지자체 의회를 통과 여부는 확실치 않다.

또 코로나19 사태가 지속되고 있는 상황에서 지자체 의회가 전기차 보조금 관련 추경을 소홀히 할 가능성도 없지 않다. 앞서 지난해 9월 서울시의 경우 전기차 보조금 추경을 시도했지만, 전기상용차·이륜차 예산만 확충된 바 있다. 국내 완성차기업의 고심이 깊어지는 이유다.

일각에서는 보조금을 확대하고, 보조금을 분기별로 할당하는 방식으로 개선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현재 선착순 보조금 지급 방식은 하반기에 출시되는 전기차에 혜택을 없애고, 소비자의 선택의 폭도 줄이고 있다는 지적이다.

현대차 아이오닉5. /사진=현대차
현대차 아이오닉5. / 사진=현대차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