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은, 회생절차 개시 의견조회서 의견 회신···늦어도 다음 주 절차 개시 전망
채무탕감·구조조정 등 과정서 노조 반발 예상···‘조기졸업’ 불발 가능성도
[시사저널e=이창원 기자] 쌍용자동차에 대한 회생절차 개시가 임박한 모습이다. 산업은행은 8일 서울회생법원에 쌍용자동차의 회생절차 개시 여부에 대한 의견을 보냈고, 법원은 늦어도 다음 주 회생절차를 개시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산업은행은 지난 1일 법원이 쌍용차 채권단에 회생절차 개시 여부를 묻는 의견조회서에 대한 의견을 회신했다. 의견서에는 회생절차 개시 동의 여부, 관리인·조사위원 선임 사안 등에 대한 쌍용차 채권단의 의견이 담긴 것으로 알려졌다.
채권단 전체의 의견을 모두 모으지 못했지만, 산업은행 내부에서는 대체로 쌍용차의 회생절차는 불가피한 상황이라고 판단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특히 유력한 잠재적 투자자였던 HAAH오토모티브가 투자의향서(LOI) 제출 시한이었던 지난달 31일까지 투자 여부에 대한 답변을 내놓지 않았고, 일부 재무적 투자자(중동 금융투자자) 설득에도 끝내 실패한 것으로 알려졌기 때문이다.
이에 쌍용차가 투자 후 가동할 예정이었던 ‘P플랜’(사전회생계획) 등도 물 건너간 상황에서 회생절차 말고는 해결 방안이 없다고 보고 있는 것이다.
회생절차는 이날 예병태 쌍용차 사장이 사퇴하면서, ‘P플랜’ 협상을 주도했던 정용원 쌍용차 전무가 ‘제3자 관리인’으로 선정돼 개시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회생절차 개시 시점은 이르면 이번 주, 늦어도 다음 주 안으로 예상되는 분위기다.
회생절차 과정에서 법원은 쌍용차를 구조조정 후 매각하는 쪽으로 가닥을 가능성이 높게 점쳐지고 있다. 실제 에디슨모터스, 인수합병 전문 사모펀드 박선전앤컴퍼니, 쌍용차 협력업체 등 3~4곳에서 쌍용차의 인수 의사를 표하고 있는 상황이다.
다만, 쌍용차에 대한 회생절차 과정은 쉽지 않은 상황이다. 채무탕감, 구조조정 등 과정에서 노조의 적지 않은 반발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쌍용차의 회생을 위해서는 인력 구조조정이 불가피하다는 분석이 많지만, 노조는 구조조정이 진행될 경우 투쟁을 불사하겠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다. 지난 이른바 ‘쌍용차 사태’가 재연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앞서 HAAH오토모티브와 산업은행 등 금융당국은 쌍용차에 인력 구조조정 등 내용을 담은 자구안을 마련할 것을 요구하기도 했지만 노조의 반발 속에 도출되지 못한 바 있다.
하지만 지난해 말 기준 쌍용차의 자본잠식율은 111.8%에 이르고, 공익채권의 규모도 3700억원 규모(자율 구조조정지원 가동 전 3100억원, 임직원 1·2월 급여 및 세금 등 600억원 등)에 이르는 상황에서 구조조정은 불가피하다는 것이 금융당국과 법원 등의 시각이다. 이동걸 산업은행 회장은 쌍용차의 ‘안이한 태도’를 지적하며 구조조정 등의 필요성을 에둘러 강조해 왔다.
쌍용차 노조는 쟁의행위 중지, 3년 주기 임단협 등 산업은행의 지원 조건 중 3년 주기 임단협 등은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을 이어오고 있다.
만약 ‘제2의 쌍용차 사태’가 발생할 경우 법원이 힘을 주고 있는 회생절차 ‘조기졸업’은 불발될 수 있다. 또 최악의 경우 파산할 가능성도 없지 않아 이에 대한 해결책이 절실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아울러 쌍용차에 대한 새로운 인수자 모색에도 힘을 쏟아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3~4곳의 인수 후보가 언급되고 있지만, 일부 인수자의 경우 현실성이 없는 상황에서 ‘홍보성 인수 의사 발표’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