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년 동기 대비 44.19% 증가···매출은 65조원 기록
스마트폰, TV 등 세트 제품 판매 호조 실적에 기여
반도체 부문은 올해 초 전망보다는 못미쳐
[시사저널e=송준영 기자] 삼성전자가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9조원을 넘어서는 ‘어닝서프라이즈’(깜짝 실적)를 기록했다. 반도체 실적은 시장 기대에 못 미쳤으나 스마트폰과 프리미엄 TV, 기타 가전제품의 판매 호조에 힘입어 호실적이 나온 것으로 분석된다.
7일 삼성전자는 올해 1분기 잠정 실적으로 매출 65조원, 영업이익 9조3000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매출은 17.48%, 영업이익은 44.19% 증가한 것이다.
삼성전자의 이번 실적은 시장 예상치를 넘어선 것이다. 당초 증권가 컨센서스(시장 전망치 평균)는 삼성전자의 매출은 61조원, 영업이익은 8조9000억원 수준이었다. 그러나 이를 웃돌면서 매출은 역대 최대치인 지난해 3분기(66조9600억원)에 근접하는 모습을 보였고 영업이익은 전분기(9조500억원)를 뛰어넘었다.
삼성전자가 이날 부문별 실적은 공개하지는 않았지만 증권업계에서는 이번 호실적이 스마트폰과 TV·가전 등 세트 부문이 호조를 보인 결과로 분석하고 있다. 코로나19로 움츠러들었던 소비심리가 살아나면서 실적도 회복됐다는 것이다.
이 중에서도 1분기 예상 영업이익이 4조3000억원으로 추정되는 모바일(IM) 부문이 삼성전자의 실적을 견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당초 올해 3월 출시 예정이었던 플래그십 모델 ‘갤럭시S21’과 보급형 ‘갤럭시 A시리즈’ 판매가 1월부터 시작되면서 호조를 보인 영향이다.
삼성전자에 따르면 갤럭시S21은 출시 57일 만인 지난달 26일 기준 판매량이 100만대를 돌파했다. 2019년 출시된 갤럭시 S10에 비해서는 열흘 정도 느리지만 지난해 출시된 S20에 비해서는 한 달 가량 빠른 기록이다.
여기에 TV와 생활가전이 포함된 소비자 가전(CE) 부문도 판매 호조를 보이면서 1조원에 육박하는 영업이익을 달성한 것으로 증권가는 전망하고 있다. TV의 경우 올해 초 네오(Neo) QLED 등 고가의 신제품 출시로 기존 프리미엄 QLED TV와 LCD TV의 프로모션을 강화하면서 판매 증대로 이어졌다.
반도체 부문의 경우 1분기 영업이익이 3조5000억∼3조6000억원 정도에 그친 것으로 파악된다. 이는 지난해 1분기 4조1200억원에 못 미치는 수치다. D램 고정 가격이 올 초부터 상승세를 보였지만 통상 6개월 단위 장기 계약을 맺는 특성상 올해 1분기에는 가격 상승분이 반영되지 않았다. 여기에 극자외선(EUV) 공정 전환에 따른 비용 및 미국 오스틴 공장이 가동 중단에 따른 비용이 반도체 부문 실적에 영향을 미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