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상찮은 반도체 시장 정세 속 총수 부재 삼성전자 어떤 행보 이어갈지 주목
[시사저널e=엄민우 기자] 반도체 패권을 둘러싼 국제 정세가 심상찮게 흘러가고 있다. 패권을 잡기 위한 미국과 중국의 신경전이 치열한 가운데 사이에 낀 삼성전자의 행보에 눈길이 쏠리고 있다.
6일 블룸버그 등 외신에 따르면 오는 12일 조 바이든 행정부는 오는 반도체 부족 문제 해결책을 논의하는 자리에 글로벌 기업들을 초대하기로 했다. 초청명단에 삼성전자도 포함됐다. 이 자리에서 삼성전자가 어떤 요청을 받을지 업계 시선이 쏠려 있다.
바이든 정부는 현재 미국 내 반도체 공급망을 강화하는 작업을 펼치고 있다. 신율 명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쿼드부터 반도체까지 미국과 관련해 외교적으로 걸려있는 것들이 많아 현명한 대응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전했다.
미국 정부의 이번 삼성전자 초청이 눈길을 끄는 것은 미국과 중국이 반도체 패권을 둘러싸고 경쟁을 벌이는 가운데 나온 것이기 때문이다. 삼성에게 추가 투자 등을 요구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귀추가 주목된다.
이런 가운데 중국정부도 질세라 한국에게 반도체 러브콜을 보내는 모습이다. 5일 중국 외교부 홈페이지에 따르면 우리 측 정의용 외교부 장관과 왕이 중국 외교 담당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회담 후 중국 공식 발표문에 반도체를 포함한 첨단기술 분야에 대한 협력도 포함된 것으로 전해진다. 중국 외교부는 협력을 원하는 구체적 분야를 적시했지만 우리 외교부 발표에는 한중 경제협력 공동계획을 조속히 채택할 것이라고만 밝히고 분야는 밝히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과 중국의 신경전을 염두에 둔 것이란 해석이 나온다.
이처럼 반도체가 안보 이슈와도 연계되는 하나의 전략적 부품으로 부각되면서 삼성전자의 행보에 눈길이 쏠리고 있다. 일단 삼성전자는 현재 미국에 170억달러 규모로 반도체 공장을 추가로 짓기로 했다. 여러 지역을 놓고 고심 중인데 신규 부지가 확보된 텍사스 오스틴 공장 증설안이 유력한 상황이다.
반도체 외교가 절실한 상황에 총수인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구속돼 있는 상황이라는 점이 변수다. 대규모 투자와 더불어 대외적 협상이 특히 오너가 나서야 할 문제로 꼽히는데, 하필 이 부회장이 직접 본인이 나서기 힘든 상황에 정세가 급박하게 돌아가고 있는 것이다.
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총수가 없다고 회사가 투자를 못하고 위기가 찾아오는 것은 아니지만, 현재 정세를 고려하면 이재용 부회장 부재가 삼성전자로선 아쉬운 측면이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이 부회장 대신 백악관에 방문할 인물로는 일단 김기남 DS(반도체‧부품) 부문 회장 등이 거론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