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 가전에서 KT 인공지능 서비스 이용
‘AI 원팀’ 협업 사업화 첫 성과
[시사저널e=김용수 기자] KT와 LG전자가 '인공지능(AI) 원팀' 사업화 첫 성과로 KT 기가지니와 LG 씽큐 연동 검증을 완료했다고 6일 밝혔다. AI 원팀은 KT가 AI 1등 대한민국을 목표로 출범한 협의체다.
KT와 LG전자는 최근 경기도 판교에 있는 ‘LG 씽큐(LG ThinQ) 홈’ 실증단지에서 KT 인공지능 플랫폼 ‘기가지니’와 LG전자 인공지능 플랫폼 ‘LG 씽큐’를 연동하는 검증 작업을 마쳤다. 연동 검증은 지난해 LG전자가 AI 원팀에 참여한 이후 지속해 온 두 기업 사업 협력 첫 성과다.
양사는 검증작업에 LG전자가 개발한 스마트홈 솔루션 ‘스마트미러’를 활용했다. 스마트미러는 가전제품 제어, 날씨 안내, 길 찾기, 일정 관리 등을 비롯해 주택 내 에너지 생산, 사용, 저장 등을 실시간으로 관리한다.
LG전자 스마트미러에서 KT 기가지니가 제공하는 뉴스, 지식검색, 지니뮤직 등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하이 엘지, 뉴스 들려줘”라고 말하면 스마트미러가 “기가지니에서 뉴스를 들려드려요”라고 말하며 뉴스를 읽어주는 방식이다.
KT와 LG전자는 각 사 AI 플랫폼이 하나로 연동되는 인터페이스와 AI 서비스를 공동으로 개발해 연동했다. 앞으로 서비스 고도화를 거쳐 사업화에 나설 계획이다. 두 기업은 앞으로도 AI 원팀을 통해 스마트미러뿐 아니라 LG전자 제품에서 AI 플랫폼이 연동되도록 서비스를 확장할 계획이다.
송재호 KT AI/DX융합사업부문장 부사장은 “이번 협업은 AI 원팀의 사업 협력 결과로 나온 첫 결과물로 의미가 크다”며 “KT는 AI 원팀 협력 모델을 다양한 참여기관 및 분야로 확대해 AI 시너지를 지속 강화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박일평 LG전자 최고기술책임자(CTO) 사장은 “양사의 협업을 통해 인공지능이 고객에게 좀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개방화 전략에 기반한 기술 혁신으로 고객의 라이프스타일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지속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KT는 지난해 2월 대한민국 AI 1등 국가를 만들겠다는 목표로 AI 원팀을 출범시켰으며, LG전자는 같은 해 6월 합류했다. AI 원팀은 사업화 협력뿐만 아니라 ▲AI 인재양성 ▲AI 공동 연구개발(R&D) ▲AI 생태계 조성 등에서 산학연 협력을 이어오고 있다.
현재 ‘AI 원팀’에는 KT와 LG전자를 비롯해 LG유플러스, 현대중공업그룹, 카이스트, 한양대,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한국투자증권, 동원그룹 등이 참여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