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호금융 작년 말 대출금 530조원 돌파···저축은행 보다 7배 이상 많아
대출 연체율은 6년 만에 2% 넘어 규제 필요성↑
은행권 대출 규제로 풍선효과 갈수록 심해질 전망

한 금융권의 대출 창구 / 사진=연합뉴스

[시사저널e=이용우 기자] 코로나19 펜데믹 이후 신협·새마을금고·농협·수협 등 상호금융업계의 대출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상호금융의 주 고객이 신용이 낮거나 경제 사정이 좋지 못한 서민들인 만큼 최근 경기 악화에 따른 대출 수요가 많았다는 분석이 나온다. 대출 연체율 증가 속도도 빨라 저축은행권보다 대출 부실화 우려가 크다는 지적이다. 

◇작년 말 상호금융 대출 530조원···1년 간 52조원 증가

25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해 말 상호금융의 대출 잔액은 총 530조원을 기록, 사상 처음으로 500조원을 돌파했다. 79개 저축은행의 총 대출금이 작년 70조원을 넘어섰는데 이와 비교하면 상호금융의 대출 규모가 저축은행보다 7배 이상 큰 상황이다. 

작년 말 상호금융의 대출금은 전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 11%(52조원) 증가했다. 세부적으로 보면 새마을금고의 대출금이 같은 기간 13.7% 늘어난 143조원, 신용협동조합이 11% 증가한 79조원, 농협·수협 등 기타 상호금융이 9.7% 증가한 308조원을 기록했다. 

상호금융은 단위조합을 통해 예금과 대출을 취급해 조합원 간의 자금 융통을 꾀하는 호혜금융의 일종이다. 시중은행과 비슷한 업무를 하고 있어 은행과 같이 금융권의 일종으로 분류된다. 

문제는 상호금융의 대출 증가세가 갈수록 빨라지는 추세라는 점이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작년 말 은행권의 가계대출 잔액은 8% 증가했는데 상호금융 대출 증가율보다 3%포인트 낮았다. 상호금융의 대출 규모도 매달 늘어나고 있다. 상호금융 대출 잔액은 10월 한 달 간 3조원 증가했고, 11월엔 5조원, 12월엔 6조원 늘었다. 반면 국내은행을 보면 12월의 대출금 증가액은 전달 대비 10조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업계는 1금융권의 대출 규제가 심해질수록 상호금융의 대출 잔액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고 보고 있다. 

상호금융 연체율 추이 / 이미지=김은실 디자이너

◇상호금융 대출 연체율 2% 돌파···올해 3% 넘을 수도

금융권이 긴장하고 있는 것은 상호금융의 연체율 상승이다. 금감원에 따르면 상호금융의 대출 연체율은 지난해 6월 말 2.14%를 기록하며 2014년 이후 6년 만에 2%를 넘어섰다. 전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면 0.61%포인트 늘어났다. 지난해 6월 말 국내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이 0.33%로 전년 동월 대비 0.09%포인트 하락한 것과 비교해면 상호금융의 대출 연체율 상승 속도가 빠르다는 분석이다. 

금융당국도 상호대출 연체율이 빠르게 늘고 있어 관리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특히 지방조합들이 부동산 관련 업종 중심으로 공동대출을 늘리고 있어 정부의 부동산 대출 규제 효력을 떨어뜨리고 있다고 보고 있다. 또 금감원은 상호금융중앙회가 자산운용을 통해 파생결합상품, SOC 등 대체투자 비중을 확대하고 있어 투자금의 잠재 손실 가능성도 높다고 보고 있다. 금감원에 따르면 상호금융중앙회의 대체투자금은 작년 9월말 기준 18조원에 달했다.  

당국은 또 은행과 비교해 상호금융의 규제가 약해 자금이 상호금융으로 집중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금감원에 따르면 은행업계는 거액의 대출이나 특정 업종에 대한 대출 규모가 클 경우 편중여신방지제도를 통해 대출 증가를 관리하고 있지만 상호금융업계에는 이런 규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호금융 업계 관계자는 “상호금융의 연체율이 증가하고 있어 리스크 관리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고 있다”며 “서민들의 대출 수요가 늘어난 만큼 연체율이 높아진 면이 있지만 코로나 영향에 따른 일시적 영향도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