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형, 옛 GM 공장·노동자 활용 전기차 생산
부산형, BMW와 제휴해 전기차 부품 국산화
원하청 간 상생 및 지역인재 채용 확대 방침
[시사저널e=이준영 기자] 전북 군산형과 부산형 일자리가 상생형일자리로 선정됐다. 정부와 기업들은 여기서 전기차 일자리 1476개를 만들 계획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5일 제3차 상생형지역일자리 심의위원회를 열고 전북 군산형 일자리와 부산형 일자리를 상생형지역일자리로 선정했다.
두 상생형지역일자리는 전기차(전북 군산)와 전기차 구동유닛(부산)을 생산하는 사업이다. 정부는 6051억원을 투자하고 1476명의 신규고용을 창출할 것으로 기대했다.
전북 군산형 일자리는 명신, 에디슨모터스, 대창모터스, 엠피에스코리아, 코스텍 등 5개 기업이 옛 GM 공장과 실직 상태의 숙련 노동자 등을 활용해 전기차 생산 클러스터를 조성하는 사업이다. 사업 기간은 3년이며 3528억원을 들여 1106명의 일자리를 만들 계획이다.
산업부는 군산형 일자리의 경우 양대 노총이 사업 초기부터 협약안 마련·갈등 중재 등에 참여했다며 우리사주제·노동자 이사회 참관제 도입 등을 통해 안정적 노사관계와 투명 경영을 실현한다는 방침이다.
또한 사업에 참여한 전기차 업체 간 밸류체인 협약을 기반으로 공동 연구개발(R&D)·마케팅·물류 등 협력 사업을 추진해 기업 간 동반성장을 위한 상생방안을 마련한다.
부산형 일자리는 코렌스EM이 독일 기업 BWM와 전략적 제휴를 통해 전기차 구동유닛 관련 핵심 기술을 확보하고 3년간 2523억원을 투자해 370명을 고용할 예정이다.
코렌스EM은 협력업체들과 클러스터 협약을 체결하고 공동 연구개발을 통해 원·하청 기술 공유와 국산화를 달성하기로 했다.
참여 기업은 부산 고교·대학과 상호 협력 프로그램을 통해 지역 기술 인재를 양성한다. 또한 지역사회공헌기금 적립, 지역주민 우선 채용 등 지역 상생을 추진한다.
정부는 두 지역의 상생형 일자리가 원활하게 추진될 수 있도록 전기차 산업 생태계 조성과 근로 환경 개선을 지원한다.
전북 군산에는 스마트모빌리티 협업 센터 구축, 스케이트 플랫폼 개발 등을 통해 산업 경쟁력 강화를 지원한다. 공동복지기금 조성 사업을 통해 참여 기업과 하청 기업 소속 근로 간 복지 격차를 해소할 방침이다.
부산에 대해서는 부품기술허브센터 구축 사업 등을 통해 참여 기업들의 기술 자립화와 부품 인증 업무를 지원한다. 특히 연구기관·대학·특성화고와 연계한 인력 양성으로 지역 인재 채용 기회를 확대한다.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군산형 일자리는 유휴 생산설비와 숙련 노동자를 활용해 전기 완성차 클러스터를 조성, 미래 먹거리 산업으로 추진하면서 군산의 극적인 재도약을 가능하게 할 것”이며 “부산형 일자리는 독자적인 전기차 핵심부품 관련 기술력을 확보하고 이를 기반으로 코렌스EM과 협력업체의 공동연구개발을 통해 미래차 산업의 발전을 주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