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고가 기록도 여전, 매도·매수자 줄다리기 형세···전문가들 “시장 안정화 분석 일러”
[시사저널e=노경은 기자] 멈출 줄 모르던 서울 아파트 가격 상승폭이 변창흠 장관의 첫 부동산 대책인 2·4 발표 이후 서서히 둔화하고 있다. 서울 곳곳에서는 10억원을 넘는 아파트 중심으로 이전 최고가 대비 수백만원에서 최고 수천만원 낮은 값에 계약이 이루어지거나 매물이 쌓이는 모습을 보이는 것이다. 다만 전문가들은 이를 2·4 대책의 효과로 보기는 섣부르다는 시각이다.
21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2월 셋째 주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0.14% 올랐다. 이는 같은 달 첫째 주 상승률(0.17%) 대비 오름폭이 소폭 축소한 수준이다. 민간기관인 부동산114 뿐 아니라 한국부동산원의 통계로도 서울 아파트값은 2주 연속 상승 폭이 둔화하고 있다.
실제 일부 단지에서는 매매가 하락 움직임이 포착되고 있다. 마포구 공덕동 래미안공덕4차 전용면적 59.9㎡는 이달 10일 12억4700만원에 계약이 성사됐다. 이는 대책 발표 전인 지난달 말 동일평형이 12억5500만원에 손바뀜이 일어난 것에 견주어보면 800만원 가량 몸값이 낮아진 수준이다. 용산구 산천동 리버힐삼성 전용 59.55㎡도 지난해 말 10억6500만원에 거래됐지만 이달 6일 9억8000만원으로 조정된 값에 계약됐다. 다만 이는 시장에서 비선호매물로 평가되는 바로 입주가 불가한 급매물이어서 여타 매물보다도 낮은 값에 거래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밖에 매물이 없어 거래가 힘든 수준이었던 시장에서 하나 둘 매물이 늘어나고 있다. 부동산빅데이터업체 아실(아파트실거래가)에 따르면 전날 기준 서울 아파트 매물은 20일 전(2월 1일)보다 1.4% 늘었다.
업계에서는 이를 세금 회피 매물이 서서히 나온 영향으로 해석한다. 통상 종합부동산세와 재산세 등 보유세 과세의 기준이 되는 6월 1일에 임박할수록 세금을 피하기 위해 몸값을 낮춘 급매물이 나오기 때문이다. 특히 올해부터는 6월 1일 이후에는 조정대상지역에서 다주택자의 양도세율이 현재보다 10%포인트 올라간다. 3주택자가 첫 집을 팔 때 양도 차익이 10억원을 넘는 경우 지방소득세를 포함해 82.5%를 세금으로 떼이는 상황이 나올 수도 있다.
다만 시장 전문가들은 시장 안정세로 이어질지 여부는 조금더 지켜봐야 할 것으로 보고 있다. 2·4대책 발표 직후 서울 곳곳에서 시세가 조정된 곳도 있지만 신고가를 경신하는 아파트도 찾을 수 있을 정도로 혼조세를 보이고 있어서다. 중랑구 면목동 면목한신아파트 전용 44.5㎡는 지난 3일 4억7000만원에서 12일 4억7900만원으로 불과 일주일 여 만에 역대 최고가를 갈아치웠다.
윤지해 부동산114 수석연구원은 “서울 외곽이나 저평가 인식이 있는 지역의 상승 폭은 상대적으로 여전히 높은 상황”이라며 “2·4대책으로 부동산 시장이 안정됐다고 표현하기는 이른 시점”이라고 분석했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 역시 “봄 이사 철을 앞두고 있고, 중저가 지역의 구매 수요 유입은 꾸준한 만큼 가격 숨 고르기가 안정세로 이어질지 조금 더 지켜봐야 한다”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