옵티머스사태 금융감독원 제재심 19일 시작···정영채, 3개월 직무정지 사전통보
제재심과 금융위에서 징계경감 가능···그동안 성과에 내부지지 ‘탄탄’
[시사저널e=이승용 기자] 정영채 NH투자증권 대표가 옵티머스펀드 사태와 관련해 금융감독원 제재심의위원회를 앞두고 있다. 앞서 정 대표는 내부통제장치 미흡이라는 이유로 직무정지 3개월이라는 중징계를 사전통보 받은 상태다.
정 대표와 NH투자증권은 억울함을 호소하고 있지만 금융감독원의 입장은 강경하다. 정 대표의 징계는 제재심을 거쳐 금융위원회에서 최종 확정되는데 정 대표와 NH투자증권은 피해자 지원 등에 힘씀으로써 징계경감에 총력을 다한다는 계획이다.
◇ 19일 제재심···징계 경감 가능할까
17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옵티머스펀드 환매중단 사태와 관련해 NH투자증권에 대한 제재심의위원회가 19일 오후 열린다.
NH투자증권은 환매중단된 옵티머스펀드 5151억원 가운데 84%인 4327억원을 판매했다. 하이투자증권(325억원), 한국투자증권(287억원), 케이프투자증권(148억원)보다 월등히 많다.
금융감독원은 이번 사태의 책임을 묻는다는 취지로 정영채 대표에게 직무정지 3개월이라는 제재안을 사전 통보했다. 금융사 임원 제재 수위는 ▲주의 ▲주의적 경고 ▲문책 경고 ▲직무 정지 ▲해임 권고 등으로 나뉘는데 문책경고와 직무정지, 해임권고가 중징계에 해당한다. 직무정지는 향후 4년간, 문책경고는 3년간 금융권 취업도 제한된다.
금융감독원의 징계 근거는 금융회사의 지배구조에 관한 법률과 시행령이다. ‘금융회사의 지배구조에 관한 법률과 시행령’에는 ‘금융회사는 실효성 있는 내부통제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는 규정이 있다. 옵티머스 사태를 막을 수 있었던 내부통제장치가 마련되지 않았기에 CEO가 징계대상에 해당한다는 논리다.
금융감독원은 DLF 사태와 라임펀드 환매중단 사태에서도 같은 논리를 내밀고 있다. 금융감독원은 DLF 사태와 관련해 지난해 손태승 우리금융지주 회장(당시 우리은행장), 함영주 하나금융지주 부회장(당시 하나은행장)에 대해 문책경고 징계를 내렸다.
금융감독원은 라임펀드 사태에서도 같은 논리로 현직인 박정림 KB증권 대표에 대해 문책경고 징계를 의결했다. 법률상 은행장에 대한 문책경고 징계까지는 금융감독원장 전결로 징계가 확정되지만 그 이상의 징계나 증권사 CEO에 대한 징계는 금융감독원 제재심을 거쳐 금융위원회 심의에서 최종 확정된다는 차이가 있을 뿐이다.
NH투자증권 측은 판매사와 자산운용사가 공모한 라임펀드와 달리 자신들도 피해자이고 옵티머스펀드 부실을 직접 고발한 당사자인데 금융당국의 징계가 과도하다고 하소연하고 있다. 한편에서는 한국투자증권 등 다른 옵티머스펀드 판매사에 대한 징계가 이뤄지지 않고 NH투자증권만 징계하는 것을 놓고 형평성 문제를 지적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일각에서는 NH투자증권이 피해자 확산 방지에 노력을 기울였다는 점을 충분히 소명할 경우 징계수위가 경감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실제로 앞서 환매중단된 디스커버리펀드와 라임펀드를 판매한 IBK기업은행 제재심에서는 김도진 전 행장에 대한 징계수위가 경징계인 주의적 경고로 낮춰지기도 했다.
◇ 튼튼한 내부 지지···지원군될까
정영채 대표는 이번 옵티머스 사태에 자신이 책임을 지고 끝까지 잘 마무리하겠다는 의지를 보이고 있다.
실제로 농협이나 NH투자증권 내부에서 정영채 대표에 대한 지지는 확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 대표는 지난해 3월 2년 임기 이후 1년 연임이라는 관례를 깨고 2년 연임에 성공하기도 했다.
이러한 배경에는 정영채 대표가 30년 넘게 자본시장 업계에 종사하면서 NH투자증권을 기존 브로커리지 위주 사업구조에서 IB분야 강자로 도약시켰던 그동안의 공로가 큰 영향을 끼쳤다는 평가다. 정 대표가 주도했던 사업들은 순수 국내자본만으로 조달한 파크원 개발사업부터 국내 최대 규모의 아부다비석유공사 인프라투자 등 다양하다.
특히 옵티머스 사태에서 불구하고 2018년 사장 취임 이후 영업실적 기반의 KPI를 폐지하고 ‘고객’들의 평가 등으로 직원을 평가하는 등 고객과정가치를 도입한 취지만은 여전히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정 대표가 각고의 노력 끝에 징계 경감을 받는다면 이후 수탁사인 하나은행과 사무관리회사인 한국예탁결제원이 NH투자증권과 함께 옵티머스사태의 책임과 배상을 분담해야 한다는 설득에 적극적으로 나설 것으로 전망된다.
키워드
#정영채
#옵티머스
#NH투자증권
#DLF
#라임
#옵티머스펀드
#라임펀드
#환매중단
#문책경고
#직무정지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