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사태 장기화에 경영 악화 심화···정부 지원은 상대적 미흡
업계, 사업주 직접 지원 요구···장관 후보자 예산 확보 능력 미지수
[시사저널e=최성근 기자] “지금은 할 수 있는 게 전혀 없다. 그냥 숨만 쉬고 있다.”
코로나19 사태가 길어지면서 여행업계가 고사위기에 몰렸다. 업계 1위인 하나투어조차 실적 부진을 견디지 못하고 최근 희망퇴직을 받기 시작했으며 중소업체 상당수는 존폐 기로에 섰다. 가장 큰 타격을 입은 산업분야 중 하나지만 정부의 예산 지원에선 뒷전으로 밀렸다는 비판이 나온다.
26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여행업계는 코로나19가 유행하기 시작한 이후 영업 자체가 불가능한 상황이 1년 가까이 계속되면서 극심한 경영 악화에 시달리고 있다. ‘여행 3대장’으로 꼽히는 하나투어, 모두투어, 노랑풍선 모두 매출과 영업이익이 곤두박질쳤다.
여행업계가 손만 놓고 있었던 것은 아니었다. 그동안 격리 없이 여행하는 ‘트레블 버블’과 ‘무착륙 국제관광비행’을 추진하고 코로나 이후 상품 예약을 미리 받아보는 등 활로를 모색했지만 큰 효과를 보지는 못했다.
이제는 뭔가를 시도할 수조차 없는 상황까지 내몰렸지만 정부의 지원은 상대적으로 미흡하다고 여행업계는 주장한다.
앞서 여행업계는 3차 재난지원금 지급 당시 정부의 집중 지원업종인 집합금지·제한업종에 선정되지 못하고 일반업종으로 분류됐다. 이로 인해 연매출 4억원 이하 종사자 5인 이하에 해당되는 업체들이 100만원을 지원 받는 데 그쳤다. 당시 집합금지업종 업체는 300만원, 집합제한업종 업체는 200만원을 각각 지급받았다.
정부는 여행업종에 대해 사무실 폐쇄 등 영업을 직접적으로 제한하지 않았기 때문에 일반업종으로 분류했다고 설명한다. 하지만 이는 표면상의 이유일 뿐 사실상 예산 확보 경쟁에서 밀렸다는 게 업계 분석이다.
집합금지·제한업종은 실내 공간에서 영업을 하는 업종이 선정된다. 하지만 여행업의 경우 외교부에서 특별여행주의보를 내리며 불필요한 여행을 자제하라고 권고했고 국내여행을 진행하려고 하면 집합금지 명령을 내리는 등 실질적으로 정부가 영업에 제한을 가했다. 집합금지·제한업종에 준하는 정부의 제한이 있었기에 충분한 지원을 설득할만 했지만 피해에 맞는 지원이 이뤄지지 못했다는 지적이다.
하나투어 관계자는 “여행업을 관장하는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신경을 많이 써줬다. 장관과 면담도 하고 고충에 대해서도 충분히 설명을 했다”며 “하지만 우선순위에서 밀렸다. 저희가 힘든 게 그거다”고 말했다.
문체부 관계자는 “그동안 여행업계가 관광업계 중 가장 큰 피해를 받고 있기 때문에 지난해 예산당국과 국회에 여러 차례 지원 요구를 했으나 우리나라 전체 재정상의 이유로 통과하지 못해 충분한 지원이 이뤄지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여행업계는 사업주에 대한 직접 지원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한국여행업협회 관계자는 “정부가 종사자들을 위해 고용유지지원금을 최대 90%까지 지원했지만 대표자는 여기에 해당되지 않는다”며 “사업주들은 10달 넘게 매출 없이 인건비, 사무실 임대료, 관리비, 통신비, 각종 세금을 부담하기 위해 근근이 아르바이트, 택배, 건설 일용직 등을 하고 대출을 받으며 버텨오고 있다”고 말했다.
여행업계를 위한 재난지원금 지원이 확대되고 사업주 직접 지원이 이뤄지기 위해서는 추가 예산을 끌어와야 한다. 신임 문체부 장관 후보자인 황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예산 확보 능력을 발휘할지 주목된다. 업계 일각에선 황 후보자가 문화, 체육, 관광 관련 경력이 없다는 점을 들어 장관으로서의 업무 역랑에 의구심을 드러내고 있다. 반면 예산 확보에 있어선 정치인 출신인 황 내정자의 경륜이 유리하게 작용할 것이란 기대도 있다.
문체부 관계자는 “저희는 여행업계를 위한 재난지원금을 조금이라도 더 드려야 한다는 입장”이라며 “이를 위해 앞으로 예산부서, 국회와 지속해 협의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