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룸버그·WSJ 등 외신 전망
100억~170억달러 규모 공장 투자 검토 가능성
[시사저널e=윤시지 기자] 삼성전자가 미국에 반도체 공장 증설을 검토하고 있다는 해외 언론 보도가 나왔다. 파운드리 경쟁사인 대만 TSMC를 추격하기 위해 생산능력을 확보하고 현지 고객사 수요를 확보하기 위한 전략이란 분석이다.
22일(현지시각)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는 업계 관계자를 인용해 삼성전자가 최대 170억달러(약18조8000억원) 규모를 투입해 미국 애리조나, 텍사스나 뉴욕에 반도체 공장 건설을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해당 보도는 삼성전자가 새 공장 부지로 애리조나 주도 피닉스, 텍사스 주도 오스틴 인근 2곳과 뉴욕주 서부의 제네시 카운티에 있는 산업단지 등을 후보에 올렸다고 분석했다. 삼성전자는 2022년 10월 공장 가동 목표로 최대 1900명을 고용하는 계획을 세운 것으로 전해진다.
삼성전자의 투자 계획은 미국의 반도체 자급자족 전략과 맞물린다. 미국은 자국 내 반도체 생산능력을 확대하고 대만, 중국, 한국 등에 대한 반도체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지원책을 준비하고 있다.
WSJ는 삼성전자의 투자 계획이 미국 연방정부의 인센티브 제공 여부에 영향을 받을 것으로 전망했다. 그간 미국은 반도체 공장 건설에 대해 연방 차원에서 별도 지원이 없었지만, 코로나19 확산으로 반도체 수급 차질이 발생하면서 예외적인 인센티브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했다.
앞서 블룸버그 역시 삼성전자가 2023년 가동을 목표로 미국 텍사스 오스틴 반도체 공장에 100억달러(약11조원) 이상을 투자해 생산 라인을 증설하는 방침을 검토 중이라고 보도한 바 있다. 삼성전자가 파운드리 경쟁사인 대만 TSMC를 추격하기 위해 첨단 파운드리 공저을 중심으로 투자 계획을 검토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파운드리 시장 1위인 TSMC 역시 미국 애리조나에 반도체 공장을 구축할 계획이다. 올해는 총 280억달러(약 31조원) 규모의 시설 투자를 단행한다. 삼성전자는 아직 투자 계획에 대해 확정된 바 없다는 입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