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5개 중점분야·9개 전략기술 확보 원년
신규사업 공고 내달 1일까지

최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 사진 = 연합뉴스
최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 사진 = 연합뉴스

[시사저널e=김용수 기자] 정부가 6G 핵심기술개발에 오는 2025년까지 2000억원 예산을 투입한다. 2026년에는 개발한 6G 원천기술을 적용한 5G플러스 시범사업도 추진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7일 6G 5대 중점분야, 9대 전략기술을 중심으로 올해 초성능‧초대역 분야 108억원, 초공간 분야 23억원, 초정밀‧초지능 분야 33억원 등 총 11개 세부과제에 164억원을 지원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지난 2018년 9월 ‘6G 핵심기술개발사업’ 예비타당성 조사에 착수해, 전문가 의견 수렴과 대국민 공청회 등을 통해 중점 추진과제를 발굴했다. 지난해 4월에는 오는 2025년까지 총 2000억원 규모의 예비타당성 조사가 최종 통과한 바 있다.

6G R&D 사업 추진 계획. / 자료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6G R&D 사업 추진 계획 / 자료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이후 지난해 8월 제12회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에서 ‘6G 시대 선도를 위한 미래 이동통신 R&D 추진전략’을 확정해 발표했다. 6G 핵심기술개발사업을 2021년 신규로 반영하고, 같은 해 말부터 사업을 공고했다.

과기정통부는 6G 핵심기술개발사업을 통해, 저궤도 위성통신 기술개발 등 민간에서 적극적으로 투자하기 어려운 분야에 예산을 집중 투자할 계획이다. 

특히, 특허청과 협력해 구축한 표준특허 전략맵을 바탕으로, IP-R&D방식을 적용해 기업‧기관에 R&D 자금과 표준특허 확보전략을 패키지로 지원하기로 했다.

또 최대 5년간 G 기초연구 강화와 전문인재 양성을 위한 대학 중심의 6G 연구센터를 선정‧지원해 연구기반을 조성한다.

과기정통부는 산·학·연 전문가의 역량 결집을 통한 성공적 사업 수행을 위해, 올해 3월부터 민·관이 함께 참여하는 ‘6G R&D 전략위원회’를 구성·운영할 예정이다.

산업계 및 관련 전문가의 현장의 목소리를 듣고 사업 전반에 대한 목표와 추진현황, 성과를 공유 및 검증할 계획이다. 국제 표준화 동향, 시장 요구사항 등을 고려해 필요 시 투자대상 핵심기술도 조정해 나갈 방침이다.

아울러, 기술개발이 완료되는 2026년부터는 5G에 상용화 전 6G 기술을 적용하는 6G-업그레이드 시범사업을 추진하고, 개발 기술이 서비스로 안착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신규사업 공고는 내달 1일까지다. 오는 8일에는 온라인으로 사업설명회를 개최한다. 과기정통부, 정보통신기획평가원 홈페이지에서 상세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