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시·일용직은 1.5% 증가
졸업 이후 첫 취업까지 평균 7.2개월 소요
[시사저널e=변소인 기자] 대학교를 졸업한 청년 중 첫 일자리로 상용직에 근무하는 이들은 줄어들고 임시·일용직에 근무한 이들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그만큼 고용시장이 불안정해졌다는 이야기다.
2일 한국고용정보원이 최근 발간한 ‘고용동향 브리프’에 실린 보고서를 보면 지난해 5월 기준 임금 근로자로 취업한 경험이 있는 29세 이하 대졸자 가운데 첫 일자리가 상용직인 사람은 106만7000명이었다. 이는 전년 동월보다 6만7000명, 5.9% 감소한 수치다.
첫 일자리가 임시·일용직인 대졸자는 35만8000명으로, 전년 동월보다 5000명, 1.5% 증가했다. 전문대 졸업자와 대학원 졸업자 등은 조사 대상에서 제외했다.
상용직은 근로계약을 체결한 경우 계약 기간이 1년 이상인 일자리를 말한다. 임시·일용직은 계약 기간이 1년 미만이거나 별도의 계약 기간 없는 일시적인 일자리다.
남예지 고용정보원 연구원은 “최근 3년(2018∼2020년) 동안 첫 일자리가 상용직인 대졸 청년은 줄어들고 임시·일용직인 청년은 늘어나는 양상”이라며 “인구 고령화와 코로나19 확산 등으로 구인 수요가 증가한 산업과 관련 있는 전공 계열 중심으로 취업 소요 기간이 짧게 나타났다”고 분석했다.
취업 경험이 있는 대졸 청년이 졸업 이후 첫 취업까지 걸린 기간은 평균 7.2개월이었다. 전공별로는 보건·복지 전공자의 취업 소요기간이 5.2개월로 가장 짧았고 정보통신기술과 경영·행정·법학 전공자가 각각 6.2개월로 뒤를 이었다.
반면 농림·어업·수의학은 18개월, 사회과학·언론·정보학 전공자는 11.3개월로 취업 소요 기간이 길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