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건산연·주산연 등 2021 부동산 전망 세미나 등에서 오름세 예상
시장 안정화 관건은 정책 추진력

세종시 한 공인중개업소 유리창에 붙은 매물 정보지를 시민이 살피고 있다. / 사진=연합뉴스
세종시 한 공인중개업소 유리창에 붙은 매물 정보지를 시민이 살피고 있다. / 사진=연합뉴스

 

[시사저널e=노경은 기자] 한 해 시작과 동시에 주택시장을 총괄 지휘하는 국토교통부 수장도 교체되면서 올해 주택시장에 대한 전망치에 관심이 커지고 있다. 지난해 부동산 시장은 서울, 지방 할 것 없이 전국이 불장이었지만 올해부터는 사전청약 등으로 수요자들이 공급확대를 체감할 수 있는 만큼 집값이 안정화될 것이란 전망도 일각에선 나온다. 그럼에도 여전히 민간조사업체는 물론 정부기관마저도 내년 집값이 상향할 것으로 예상하는 게 지배적이다.

1일 최근 한국은행이 발표한 소비자동향조사를 보면 지난해 12월 주택가격전망지수는 전달보다 2포인트 늘어난 132를 기록,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주택가격전망지수는 전국 2500가구를 대상으로 1년 뒤 집값 변동 전망을 묻는 설문조사로 이 지수가 100보다 크다는 건 집값이 오를 것으로 보는 가구 수가 더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제 한국은행은 지난해 말 발간한 경제전망 보고서를 통해 올해 역시 집값이 오를 것으로 예상했다. 한국은행은 “주택 매매가격은 정부의 주택시장 안정화 노력으로 수도권을 중심으로 오름세가 둔화되다가 지난해 10월 중순 이후 상승폭이 다시 확대됐다”면서 “2021년 이후 주택 매매가격은 입주 물량 감소, 전셋값 상승 등으로 오름세를 보일 것”이라고 했다.

앞서 대한건설정책연구원도 2021년 건설·주택경기 전망 세미나를 열고 내년 전국 집값 변동률을 2%, 수도권 1.5%, 서울 1%로 각각 예측한 바 있다. 연구원은 또 전세가격 변동률은 이보다 높은 전국 4%, 수도권 5%, 서울 3% 등 수준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주택산업연구원도 내년에 집값과 전셋값이 동반 상승세를 유지할 것으로 예측했다. 주산연은 최근 발표한 2021년도 부동산시장 전망에서 내년도 전국 집값 상승률을 1.5% 가량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서울은 1.5%, 수도권은 1.4% 수준이 될 것이라는 설명도 덧붙였다. 전셋값 역시 전국 3.1%, 수도권 3.3%, 서울 3.6%씩 오를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처럼 각종 연구기관에서 발표하는 부동산 시장 전망을 보면 올해 주택마련 상황 역시 녹록치 않을 것으로 보인다. 꼬일 데로 꼬인 주택 수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가 얼마나 실효성 있는 부동산 대책을 내놓을지가 관건으로 여겨진다.

이와 관련 지난해 12월 말 취임한 변창흠 신임 국토교통부 장관은 주택시장의 불안을 조기에 해소하기 위해 도심 내 저렴하고 질 좋은 주택을 충분히 공급할 방안을 설 전에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시장에서는 변 장관이 발표할 예정인 도심 주택 공급 확대 방안은 역세권과 준공업지역, 저충주거지 등지의 고밀 개발방안이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들 지역에 용적률이나 도시계획 규제 완화 등 파격적인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대신 공공개발을 통해 공공임대 등을 확보하고 개발 이익을 환수하는 방안이다.

부동산업계 관계자는 “정부의 주택 공급이 신속하게 시행되면서 수요자들의 불안을 얼마나 진정시킬 것인지가 올해 주택시장 안정화 여부를 결정짓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