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000점 점수제로 신용평가 체계 세분화
통신비·보험료 등 비금융 부문 평가 확대
신용·체크카드 소비패턴 평가 비중 커져
[시사저널e=김희진 기자] 내년부터 개인에 대한 신용평가가 등급제에서 점수제로 바뀐다. 1~10등급으로 나뉘던 개인 신용정보가 1~1000점의 신용점수제로 세분화되면서 기존에 등급제의 경계선에 있어 카드 발급 및 대출 심사에서 불리했던 금융소비자의 경우 금리 인하 등의 혜택을 누릴 것으로 기대된다.
신용평가 체계가 개편되면서 평가항목도 크게 달라졌다. 이에 오늘은 현명한 신용점수 관리를 위해 알아두면 좋은 달라진 신용점수 평가항목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자 한다.
◇ 비금융 항목 신설···카드 소비패턴도 반영
개편된 신용점수제에서는 비금융 분야에 대한 신용평가가 확대된다. 개인 신용평가회사 KCB(올크레딧)는 신용점수의 8% 비중으로 비금용항목을 신설했다.
기존에는 취업준비생, 전업주부, 고령자 등 금융거래 이력이 부족한 씬파일러(Thin Filer·금융이력부족자)의 경우 신용등급이 낮은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점수제 도입으로 비금융 분야에 대한 평가가 추가되면서 공공요금, 보험료, 통신비, 관리비 등을 성실히 납부하면 금융이력이 없더라도 신용점수를 높일 수 있다.
반대로 대출을 제때 상환했더라도 통신요금과 건강보험 등의 납입을 연체하면 신용점수가 큰 폭으로 하락할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카드 소비 패턴의 중요성도 커졌다. KCB는 카드 이용 정보를 포함한 신용거래형태 비중을 기존 33%에서 38%로 확대했다. 나이스평가정보도 신용형태의 비중을 25.8%에서 29.7%로 늘렸다.
기존에는 신용카드만 평가 요소로 반영됐지만 앞으로는 체크카드 소비패턴도 신용점수에 반영된다. 신용카드와 체크카드 모두를 적정한 수준에서 사용하고 있는가를 중요하게 평가하겠다는 취지다. 만약 카드 사용자가 일시에 카드 결제액을 늘렸다가 연체하게 되면 신용점수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 대출업권 외 대출종류·규모·금리 중요성 커져
그동안 등급제에서는 개인의 신용도를 평가할 때 은행, 제2금융권 등 대출을 받은 업권이 어디인지를 중요하게 따졌다. 그러나 신용점수제에서는 단순히 대출 업권의 유형이 아닌 대출 종류와 규모, 금리 수준 등 더 세부적인 관점에서 신용점수를 매긴다. 따라서 제2금융권 대출을 받았다 할지라도 제1금융권에 비해 큰 폭으로 등급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실제로 금융위원회는 이런 평가 기준 변화로 제2금융권 대출자 중 약 40만명의 신용점수가 상승할 것으로 예상했다. 또한 중도금·유가증권 담보대출 등 업권과 무관하게 신용위험에 차이가 없는 경우에도 모든 당사자들을 동일하게 평가하는 기준을 도입해 약 50만명의 금융소비자가 신용점수 상승효과를 볼 수 있을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 대출 관련 데이터가 추가되면서 대부업권에서 대출을 받은 경우에는 신용점수가 하락할 수 있다는 점은 유의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