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부, 코로나19 위기 극복에 성장단계별로 지원···한국판 뉴딜사업에 3조원 선제적 지원

표=중소벤처기업부
/ 표=중소벤처기업부

[시사저널e=차여경 기자] 2021년 중소기업 정책자금이 5조4000억원 규모로 확정됐다. 이 자금은 성장단계별로 디지털, 그린 뉴딜과 지역균형 뉴딜과 코로나19로 인한 경영애로 기업에게 먼저 지원된다.

23일 중소벤처기업부는 5조4100억원 규모의 2021년 중소기업 정책자금 운용계획을 발표했다. 중기부는 오는 24일부터 정책자금 신청을 온라인으로 접수를 받는다고 밝혔다.

2021년도 정책자금은 ▲한국판 뉴딜 등 핵심분야 지원강화 ▲기업 유형별 맞춤형 지원 ▲수요자 중심의 제도개선을 통해 중소벤처기업 중심 ‘한국판 뉴딜’의 성공적 추진을 위한 마중물 역할 강화를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디지털·그린 뉴딜 분야에 2조원, 지역균형 뉴딜 분야에 6,00억원 등 한국판 뉴딜을 위해 2조6000억원의 총액목표제를 설정하고 그 밖에 여성기업과 사회적 경제기업에 4800억원을 배정했다.

내년 최초 도입되는 총액 목표제는 특정 분야를 위한 전용 자금을 만들어 우선 지원하는 칸막이 방식이 아닌 자금 구분 없이 총액 목표를 부여하고 이를 지속적으로 관리함으로서 해당 분야에 우선 지원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식이다. 총액 목표제 적용 분야에 정책우선도 평가시 가점을 부여하고 전용상담 창구 운영하는 등 정책자금 신청시 우선 기회 제공하고, 융자한도를 확대(60억원 → 100억원) 적용할 계획이다.

코로나19 극복을 위해 기업 유형별로 맞춤형 지원이 강화됐다. 성장단계별로 창업기 2조2500억원, 성장기 2조4100억원, 재도약기 7500억원으로 구분해 운영된다.

자연재해와 사회재난으로 피해를 입은 중소기업의 피해복구 비용과 코로나19로 인해 매출이 감소한 기업 등 일시적 경영애로 기업 경영정상화를 위해 필요한 경비를 신속히 지원할 계획이다. 이 사업에는 5000억원이 배정됐다.

특히 정책자금의 디지털 전환을 통해 중소기업의 공간적 제약과 서류준비에 필요한 시간소요를 대폭 줄여 자금신청 기업의 편의성을 높일 계획이다. 온라인 상담채널 운영을 통해 상담집중을 분산하고, 상담 취약시간을 보완하는 24시간 상담서비스를 지원한다. 인공지능 챗봇이 탑재된 모바일 신청 플랫폼 구축해 단순 문의는 인공지능 챗봇이, 자금신청이 전제된 전문상담은 콜센터 전담직원이 각각 대응할 예정이다.

기업진단 체계를 단순 처방이 아닌, 사전예방·치료 중심으로 개편해 기업애로 상황에 따라 단계별 진단, 맞춤형 개선솔루션과 정책사업을 연계해 지원할 계획이다. 특히 코로나19로 인한 경기침체로 인한 재무구조의 악화로 자금조달이 어려운 한계기업과 부채비율 초과기업을 위한 제도개선을 실시한다.

먼저 융자제한 기업인 한계기업에도 자금 신청 기회를 부여하고 별도 평가(기술 사업성 예비평가 및 기업별 IR 심사)를 통해 지원할 계획이다.

박영선 중기부 장관은 “코로나19로 인해 경제·사회 등 모든 분야에서 매우 어려운 상황임에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최고의 경제성장률 달성, 코스피·코스닥 시장의 호황과 수출 회복이라는 성과를 중소벤처기업이 주도했고, 코로나19를 극복하고 새로운 4차 산업혁명을 리드할 수 있는 힘 역시 중소벤처기업에 있다”고 말했다.

박 장관은 ”디지털·그린 뉴딜과 지역균형 뉴딜 등 혁신성장 분야를 중심으로 중소벤처기업의 창업·성장·수출·재도약 등을 정책자금이 적극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