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개 제약사 3400만명분, 코백스 1000만명분···내년 2월부터 도입, 접종시기 탄력조정
노인-의료인-경찰 우선 접종···임상 결과 없는 소아-청소년 후순위
[시사저널e=이상구 의약전문기자] 정부가 영국 아스트라제네카, 미국 화이자, 존슨앤존슨-얀센,·모더나 등 4개 글로벌 제약사와 다국가 연합체를 통해 코로나19 예방 백신 4400만명분을 확보했다. 4400만명분은 우리나라 인구 88%가 접종할 수 있는 분량이다. 백신이 내년 초 도입되더라도 실제 접종은 노인과 의료인 등 우선 대상자를 시작으로 내년 하반기 시작될 전망이다.
정부는 8일 국무총리 주재 국무회의에서 코로나19 해외 개발 백신 확보 계획에 대해 심의, 의결한 후 이같은 방안을 발표했다. 이날 회의를 통해 정부는 코박스 퍼실러티(약 1000만 명분) 및 글로벌 백신 기업(약 3400만 명분)을 통해 최대 4400만명 분 해외개발 백신을 선구매한다고 밝혔다.
정부는 우선 글로벌 제약사를 통해 최대 6400만 회분 백신을 선구매한다. 제약사별로는 아스트라제네카 2000만 회분, 화이자 2000만 회분 및 얀센 400만 회분, 모더나 2000만 회분을 선구매한다. 이를 위해 아스트라제네카는 선구매 계약을 이미 체결했다. 나머지 기업도 구속력 있는 구매 약관 등을 체결, 구매 물량 등을 확정했다. 나머지 계약 절차도 신속히 진행할 예정이다.
이번에 선구매한 백신은 오는 2021년 1분기(2, 3월)부터 단계적으로 도입될 예정이다. 추후 후속 개발 백신 개발 동향 등에 대해서도 모니터링 하고, 추가 필요 물량에 대해서도 확보해 나갈 계획이다. 백신 선급금 지급 및 백신 구매를 위해 정부는 올해 예산 중 이·전용분 1723억원, 4차 추경 1839억원 및 2021년 목적예비비 9000억원 등 약 1조 3000억원 예산을 확보했다.
향후 정부는 코로나19 백신 예방 접종 체계를 신속하게 준비할 계획이다. 백신 보관 조건(화이자 –70℃±10℃ 등), 짧은 유효기간, 2회 접종 및 다양한 종류 등으로 인해 접종 준비 과정에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예방접종 시기와 관계없이 사전 준비를 추진한다. 이를 위해 질병관리청에 백신 도입 및 예방 접종을 위한 별도 전담조직 구축도 추진한다.
접종시기와 관련, 백신 개발이 완료되지 않았고, 안전성과 효과성 등에 대한 우려가 있는 만큼, 코로나19 국내 상황과 외국 접종 동향 및 부작용 여부, 국민 수요 등을 고려해 탄력적으로 결정할 예정이다.
정부는 노인, 집단시설 거주, 만성질환 등 코로나19 취약계층과 보건의료인 등 사회필수서비스 인력 등을 우선 접종 권장 대상(약 3600만 명)으로 검토하고 있다. 원칙적으로 무료 접종하는 방안을 관계부처와 검토해 나갈 예정이다. 특히 소아나 청소년 등은 안전성과 유효성 근거가 아직 불충분하나, 임상시험 결과 지속 모니터링을 통해 향후 접종전략을 검토할 예정이다.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은 “백신이 개발 완료 전 단계이고, 백신 접종 과정에서 부작용 등 불확실성이 있는 만큼 국민 건강을 위해 당초 정부가 발표한 3000만 명분 보다 더 많은 백신을 선구매키로 했다”면서 “코로나 19 백신 예방 접종이 완료될 때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리는 만큼 국민들이 방역 지침을 준수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