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금융경영연구소 대상자 4000명 설문···평균 자산 7.6억원
금융자산 중 예적금 비중 하락···주식 비중 높아져

우리금융경영연구소 '대중부유층의 자산관리와 디지털 금융 이용 행태' 보고서/자료=우리금융경영연구소
우리금융경영연구소 '대중부유층의 자산관리와 디지털 금융 이용 행태' 보고서/자료=우리금융경영연구소

[시사저널e=김희진 기자] 소득 상위 10~30%에 해당하는 가구인 ‘대중부유층’의 평균 자산이 지난해보다 2억1300만원 늘어난 7억6500만원으로 집계됐다. 특히 금융자산의 증가폭이 두드러졌는데, 금융자산 중 예적금 비중은 낮아지고 주식 비중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금융그룹 우리금융경영연구소는 이런 내용의 '대중부유층의 자산관리와 디지털 금융 이용 행태' 보고서를 펴냈다고 6일 밝혔다. 가구당 연소득 7000만원 이상~1억2000만원 미만인 4000명의 대중부유층을 대상으로 9~10월 설문조사를 벌였다. 

조사 대상자의 평균 총자산은 7억6500만원으로 부채 1억1900만원을 제외한 순자산은 평균 6억4600만원이었다.

총자산 중 금융자산과 부동산자산의 비중은 각각 18.9%, 76.6%로 ‘부동산 편중’ 현상이 지속됐다. 부동산자산은 6억900만원으로 작년보다 7600만원(14.3%) 늘었고, 금융자산은 1억2600만원으로 2400만원(24.1%) 늘었다.

금융자산 중 예적금 비중은 45.0%로 지난해보다 5.0%포인트 줄어든 반면, 주식 비중은 15.4%로 3.0%포인트 증가했다.

주식을 보유한 응답자는 작년 1862명에서 올해 2099명으로 11.3% 늘었다. 다만 펀드 등 간접투자상품과 파생결합증권 보유자는 각각 13.5%, 11.7% 줄었다. 직접 투자 선호 경향이 뚜렷해진 셈이다.

이들은 향후에도 주식 비중을 현재보다 1.7%포인트 높여 금융자산 포트폴리오의 17.1%까지 확대하고 예적금 비중은 더 낮추기 희망한다고 답했다.

이들은 작년보다 위험지향적 투자 성향이 강해지는 경향을 보였다.

지난해 저위험을 추구하는 안정추구형과 안정형이 약 60%를 차지했으나 올해 이 비중은 41.2%로 축소되고, 적극투자형과 공격투자형이 33.7%로 전년보다 10%포인트 증가했다.

이는 시중금리가 낮아져 이전 수준의 이익을 얻기 위해서는 리스크 감수가 불가피해졌기 때문으로 보인다고 연구소는 분석했다. 시중은행 예금금리는 작년 3분기 1.59%에서 올해 3분기 0.84%로 급락했다.

부채 총액은 작년과 같았으나 전세자금대출과 신용대출(카드론 포함) 잔액은 증가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