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00억 행안부 사업 2건, 분위기 상반
750억 ‘지방재정관리시스템’ 구축 사업에 LG·SK·KT 참여
1029억 ‘지방세입시스템 구축 2단계’는 이미 두 차례 ‘유찰’
[시사저널e=김용수 기자] 행정안전부가 이달 ‘차세대 지방재정관리시스템(e호조)’과 ‘차세대 지방세입시스템 구축 2단계’ 등 규모만 1800억원에 달하는 공공사업을 발주했다. 모두 대기업 참여 제한이 풀린 사업임에도 ‘대기업 3파전’과 ‘3연속 유찰 위기’로 상반된 모습이다.
조달청 및 IT 업계에 따르면 지난 2일 입찰 마감한 ‘차세대 지방재정관리시스템(e호조)’ 구축 사업에 LG CNS, SK주식회사 C&C, KT 등 대기업 3사가 뛰어들었다. 정부가 클라우드를 비롯해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등 최신 기술을 적용해야 하는 사업인 점을 고려해 대기업 참여 제한을 푼 영향이다.
차세대 지방재정관리시스템 구축 사업은 예산 편성부터 집행·회계결산·채권채무관리까지 모든 지방재정 업무를 처리하는 시스템을 개편하는 사업이다. 이 시스템은 국가 3대 재정 시스템으로 전국의 243개 지자체 39만명의 공무원이 하루 평균 1조3000억원의 예산을 처리한다. 행안부가 2005년 이 시스템을 처음 구축한 후 15년 만에 전면 개편에 나선 것이다. 사업 규모는 750억원 규모다.
LG CNS는 지난 30년 동안 공공 IT 사업을 수행했다. 지방, 국가, 교육, 국방재정 등 대한민국 4대 재정 시스템을 구축한 경험도 강점이다. 또 전 세계 20여개국에 약 40여건의 전자정부 시스템을 구축한 경험도 있다. SK C&C는 과거 e호조 시스템 개발과 유지에 참여한 내부 인력을 중심으로 사업 참여를 준비해왔다.
기성 시스템통합(SI) 기업들뿐만 아니라 통신사 KT도 도전장을 냈다. KT는 사업 수주를 위해 지난 4월부터 전사 차원의 태스크포스(TF)를 가동했다.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지난달 재정분야 전문성을 갖춘 중소기업들과 컨소시엄도 구성했다. KT는 국가재정·국고보조금·지방재정 등 사업 경험이 있는 아이티아이즈, 하이퍼테크, 아이티메이트, 씨에스정보기술, 씨엔에프, 유플러스아이티 등과 함께한다. B2B사업 강화를 새 경영목표로 발표한 이후 첫 공공사업 수주전인 만큼 KT는 이 사업에 사활을 걸고 있다.
대기업 3사가 일제히 뛰어든 e호조 사업 결과는 오는 7일 발표된다.
반면 행안부가 발주한 ‘차세대 지방세입시스템 구축 2단계’ 사업은 3연속 유찰이 예상된다.
1029억원 규모의 차세대 지방세입정보시스템 구축 사업은 행안부가 2005년 구축 후 15년 가까이 운영해 온 지방세입정보시스템을 전면 재구축하는 사업이다. 이 역시 대기업 참여제한 예외사업으로 지정됐다. 분석, 설계 작업인 1단계 사업에 삼성SDS가 우선협상자로 선정돼 참여한 바 있다. 1단계 사업을 진행한 기업이 구축 및 관리 과정인 2~3단계 사업을 진행하는 게 일반적이었지만 삼성SDS가 이후 사업에 참여하지 않으면서 신규 사업자를 찾기 위한 입찰공고가 진행됐다.
그러나 해당 사업은 입찰 공고 모집에도 아무도 지원하지 않아 이미 두 차례 유찰됐다.
지난해 삼성SDS와 경쟁했던 LG CNS와 메타넷대우정보 등이 참여할 것으로 예상됐지만 모두 응찰하지 않았다.
이후 지난달 19일 조달청은 재공고를 냈다. 오는 15일 입찰 마감될 예정이지만 여전히 업계에선 수익성 한계, 사업범위 불명확성 등을 이유로 참여를 꺼리고 있어 3연속 유찰 우려가 나온다.
행안부는 당초 올해 10월부터 2022년 10월까지 시스템 구축작업을 통해 지능형 세무행정 서비스와, 빅데이터·인공지능 등 최신 기술을 접목한 대국민 납세편의 서비스를 구현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3연속 유찰 시 일정은 더 지연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