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까지 아파트 매매거래량, 전년 동기比 65% 급증
지난해 대비 거래량 급상승지역 김포, 일산, 군포, 광주 등 눈길

/ 그래픽=이다인 디자이너
서울, 경기 아파트 거래량 주요 상승지역 / 자료=리얼투데이, 그래픽=이다인 디자이너

 

[시사저널e=노경은 기자] 올 한 해 주택시장 거래를 이끈 것은 가성비가 우수한 지역인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접근성이 좋지만 상대적으로 가격상승률이 낮았던 지역에서 거래가 봇물 터지 듯 하며 전체 주택거래량의 증가를 이끌었다. 그동안 서울 강남권 등 고가지역에 투자 목적의 수요층이 몰리면 이 같은 분위기가 서울 전체를 넘어 수도권, 전국으로 확산하던 분위기와는 전혀 다른 형태다.

25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현황에 따르면 올해(1~10월) 전국 아파트 매매거래건수는 64만304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같은기간 거래량인 38만8212건에 견주어 보면 25만2092건(64.9%) 늘어난 수치다. 

전국 249개 시·군·구 가운데 전국 평균보다 높은 상승률을 보인 지역은 ▲김포시 246.66%(3553건→1만2317건) ▲고양시 일산동구 199.59%(1454건→4356건) 등이었다. 이들 지역은 특별한 개발호재도 없지만 서울 접근성이 좋은데다 상대적으로 둔화된 상승률 덕분에 가성비 주택을 찾는 수요층을 흡수했다. 경기권 뿐만 아니라 서울 내에서도 강북구·강서구·도봉구·은평구 등 상대적으로 매매가가 저렴한 지역을 중심으로 매매거래량이 크게 늘었다.

시장 주도권이 강남 아닌 강북으로 넘어간 이유는 정부의 고강도 규제와 관련이 깊다. 정부가 지난해 12·16 부동산대책을 통해 15억 원 이상의 아파트에 대해선 주택담보대출을 전면 차단하면서 강남권 주택 매수 부담이 커진 영향이다. 뿐만 아니라 정부는 삼성역(GBC) 영동대로지하화~잠실역(MICE) 교류복합지구 개발로 인해 투기세력이 유입될 것을 우려해 6월 하순부터 잠실동, 삼성동, 대치동, 청담동 등 강남 중심부 주택을 매매 거래할 경우 지자체장의 허가를 받도록 하는 등의 방법으로 강남권 매수 문턱을 더욱 높였다. 이밖에 취득세, 종부세, 양도세 등 부담을 대폭 키워 1주택자라 하더라도 고가주택의 세금부담을 대폭 키운 점도 강남 시장의 위축을 불러왔다.

또한 재건축 규제를 확대한 것도 강남권에는 악재로 작용했다. 강남권에서도 주택시장의 가격을 이끌어 온 것은 신축과 재건축 추진 사업장이었는데 안전진단강화와 재건축 초과이익환수제,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 시행이 올해부터 일제히 적용되면서 사업이 멈춰서거나 사업 속도가 둔화된 곳이 늘었다. 이는 강남 주택시장의 둔화를 초래했고 반면 강북권 중저가 지역이나 경기도에는 주택시장 반사효과로 거래량이 상승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청약 당첨을 기대하기 힘든 젊은층이 중저가 아파트 매수에 나선 이른바 패닉바잉도 가성비 지역의 거래량 급증에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시장에서는 정부의 주택정책기주에 큰 변함이 없는 만큼, 이와 같은 분위기가 내년에도 이어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강남권의 경우 가격 부담이 큰 데다 자금조달계획서, 대출규제 강화로 문턱도 높아진 반면 외곽지역 단지는 가격부담이 덜하고 비교적 규제가 약해 키맞추기 현상이 이어질 수 있다”며 “서울 접근성이 좋은 지역은 추후 부동산 하락기에도 집값 방어력을 유지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