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사옥, 클라우드·인공지능·로봇 기술 메카로 활용
[시사저널e=원태영 기자] 네이버가 경기도 분당 제2사옥에 적용할 멀티 로봇 인텔리전스 시스템 ‘ARC(AI-Robot-Cloud)’를 선보였다. ARC는 인공지능(AI), 클라우드, 로봇 기술로 내년 상반기 완공 예정인 네이버 제2사옥에 적용된다. ARC는 제2사옥 로봇들의 두뇌 역할을 담당할 예정이다.
네이버는 25일 개발자 컨퍼런스 ‘데뷰(DEVIEW) 2020’을 개최하고, 제2사옥 ARC 계획을 밝혔다. ARC를 이용해 고가의 센서에 의존하지 않고 로봇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네이버 관계자는 “로봇 각각의 제작비를 낮추면서도 최고의 효율을 내는 것이 목적”이라며 “말그대로 클라우드에 띄워진 하나의 거대한 ‘지능’”이라고 밝혔다.
ARC는 크게 ARC 아이(눈)와 ARC 브레인(뇌)으로 구성된다. ARC 아이는 GPS가 통하지 않는 실내에서 현재 위치와 경로를 알려주는 사람의 ‘눈’ 역할을 수행하며, 브레인은 로봇의 이동, 측위, 서비스 등을 계획하고 실행한다.
ARC에는 네이버랩스 기술인▲실내 고정밀 지도를 제작하는 매핑로봇 M1 ▲실내에서 위치 인식이 가능한 비주얼 로컬라이제이션 기술 ▲맵클라우드와 강화학습 기반으로 이동하는 어라운드 플랫폼 ▲5G를 이용해 클라우드가 로봇 두뇌가 되게 하는 브레인리스로봇 기술 등이 대표적이다.
석상옥 네이버랩스 대표는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을 기반으로 개발된 ARC는 세계 최초의 로봇 친화형 빌딩으로 건설 중인 네이버 제2사옥에서 첫 상용화될 예정”이라며 “이를 함께 구현하고자 희망하는 각 분야 기술 인재들의 적극적인 동참을 기다린다”며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