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500 지수도 사상 최고치에서 장 마쳐
나스닥 지수는 12000선 다시 넘겨
코로나19 백신, 트럼프 불복 불확실성 해소 등 영향
원유 가격 급등하고 금 가격은 급락해

미국 뉴욕증시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백신 개발 기대와 미국 대선 불복 불확실성 해소, 조 바이든 미국 차기 행정부의 시장 친화적 인사 기용 등에 힘입어 새로운 기록들을 쏟아냈다.

24일(현지 시간) 미국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454.97포인트(1.54%) 오른 30046.24에 마감했다. 이는 사상 처음으로 30000만 포인트를 넘어선 것이다. 

다우 지수는 1896년 출범 후 10000선을 뚫는 데 103년(1999년 3월)이 걸렸다. 이후 18년 만에 20000을 넘어섰고 불과 3년 10개월 만에 다시 앞자리 수를 갈아치우는 등 갈수록 상승 속도가 빨라졌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 역시 전장 대비 57.82포인트(1.62%) 뛴 3635.41에 마감해 종가 기준 최고치 기록을 다시 썼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도 156.15포인트(1.31%) 상승한 12036.79로 거래를 마쳐 12000선을 다시 넘어섰다.

이날 뉴욕 증시는 코로나19 백신 이슈에 반응한 것으로 분석된다. 전날 영국 아스트라제네카는 자사 코로나19 백신이 최대 90%의 예방률을 보였다고 발표했다. 앞서 미국 제약사 화이자, 모더나 역시 백신 개발 결과를 내놓으며 내년 글로벌 경제 활동이 정상화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을 높인 바 있다.

미국 정계의 불확실성이 다소 해소된 점도 투심에 영향을 미쳤다. 대선 결과에 불복하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날 저녁 바이든 당선인 측에 대한 정권 인수 협력을 지시했다는 소식이 전해진 것이다. 

여기에 바이든 행정부가 친시장 성향 인사를 영입한 점도 한몫했다. 바이든 당선인은 친시장 성향으로 분류되는 재닛 옐런 전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을 초대 재무장관으로 낙점했다. 옐런 전 의장은 연준 재임 당시 저금리 기조를 유지하면서 미국 경제 회복을 지원했다.

한편 국제 유가도 코로나19 백신 개발에 따른 수요 회복 기대감에 급등했다. 이날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내년 1월 인도분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는 배럴당 4.3%(1.85달러) 오른 44.91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런던 ICE선물거래소의 내년 1월물 브렌트유도 오후 5시 15분 현재 배럴당 3.78%(1.74달러) 뛴 47.8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반대로 안전자산인 국제 금값은 이틀 연속 급락세를 보였다. 뉴욕상품거래소에서 12월 인도분 금은 온스당 1.8%(33.20달러) 내린 1804.60달러에 장을 마감했다. 

미국 뉴욕증시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백신 개발 기대와 미국 대선 불복 불확실성 해소, 조 바이든 미국 차기 행정부의 시장 친화적 인사 기용 등에 힘입어 새로운 기록들을 쏟아냈다. / 사진=연합뉴스.
미국 뉴욕증시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백신 개발 기대와 미국 대선 불복 불확실성 해소, 조 바이든 미국 차기 행정부의 시장 친화적 인사 기용 등에 힘입어 새로운 기록들을 쏟아냈다. / 사진=연합뉴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