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년 11만7179명 대비 0.75% 증가
10채 이상 소유한 다주택자수도 통계 이래 최대치
[시사저널e=노경은 기자] 지난해 5주택 이상 보유한 다주택자가 11만 8000여명을 기록, 정부의 고강도 부동산 대책에도 다주택자가 통계 이래 최대치를 보였다. 특히 10주택 이상 다주택자도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23일 통계청의 2019년 주택소유통계 세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1일 기준으로 주택 5채 이상 소유자는 총 11만8062명으로 집계됐다. 2018년 11만7179명에 비해 0.75%(883명) 증가한 것으로 2012년 통계 집계 이후 최대치다.
5주택 이상 소유자는 2015년 10만 명을 처음 넘어섰다. 이후 매년 증가세를 이어오다 지난해 최대치를 갱신했다.
주택을 10채 이상 소유한 다주택자도 4만2868명으로 통계 집계 이래 최대치를 보였다. 2018년 4만2823명에 비해 0.10%(45명) 늘었다.
아울러 주택을 51채 이상 소유한 다주택자도 1964명이었다. 2018년 1882명에서 4.35% 증가한 수치다. 주택 51채 이상 소유자는 2012년 949명에 불과했으나 현재는 1964명이 됐다.
한편 무주택가구도 늘었다. 지난해 무주택 가구는 888만 6922가구로, 전년 874만 5282가구보다 1.6%(14만 1640가구) 늘었다. 특히 서울 지역의 무주택가구는 200만 1514가구였다. 서울은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유일하게 주택 소유 가구보다 무주택 가구 수가 많았다. 연령별로는 30세 미만 무주택 가구가 183만 3372가구를 기록, 2015년 통계 집계 이래 처음으로 증가세를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