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부 주최 글로벌 스타트업 행사 ‘컴업2020’서 기조연설···“급격한 위기에서 영향력있는 스타트업들이 등장”
[시사저널e=차여경 기자] 김슬아 마켓컬리 대표는 “스타트업들이 새로운 아이디어를 통해 코로나19 극복에 기여를 하고 있다”고 19일 말했다.
이날 김 대표는 경기 고양시 CJ ENM스튜디오에서 열린 '컴업 2020' 기조연설에서 “코로나19로 인해 많은 삶의 변화가 있었다. 경기가 침체되고 산업이 재편됐다. 고용환경도 변화하고 사회적거리두기로 인해 외부활동이 감소한 동시에 온라인 활동은 늘어났다”고 말문을 열었다.
최근 전세계적으로 퍼진 코로나19로 인해 국내외 스타트업들도 타격을 입고 어려움이 있었다. 여행이나 요식업 등 오프라인과 공연예술 엔터테인먼트 사업이 특히 피해가 컸다. 김 대표는 코로나19 어려움을 극복하는 사업모델을 보며 앞으로 다가올 미래가 어떨지 전망할 수 있었다고 했다.
김 대표는 “외부활동 감소와 온라인활동 증가가 스타트업이 많은 어려움에도 혁신을 할 수 있었던 근간이 됐다”면서 “인테리어 등 홈이코노미, 집에서 운동을 할 수 있는 홈트레이닝이 빠르게 성장했다. 홈스쿨링은 교육을 비대면으로 변환했을 때의 환경을 구현했다. 왓챠 등 엔터테인먼트 산업도 온라인으로 옮겨졌다”고 설명했다.
김 대표는 “급격한 변화와 위기 속에서도 수많은 스타트업 등장해 새로운 동력을 통한 아이디어와 기회를 창조하고 있다”면서 “실제 역사를 보더라도 위기가 있었을 때 등장한 스타트업들이 장기적으로 시장에 영향력이 있는 기업으로 성장했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1989년과 2018년 글로벌 시가총액 상위권 회사를 비교해보면 1989년 회사 중 단한군데도 2018년 명단에 들어가 있지 않다”며 “산업도 다르다. 1989년에는 제조업, 정유회사 등이 있다. 2018년에는 모두들 아는 IT회사 애플, 아마존, 알파벳, 마이크로소프트, 페이스북이 올랐다”고 예를 들었다.
이어 김 대표는 “애플 외에는 모두 1990년대 이후에 창업한 회사고, 페이스북은 2000년대에 창업했다”며 “이들은 닷컴버블을 뚫고 혁신하면서 인류의 중요한 문제를 해결하며 가치를 인정받았다”고 덧붙였다.
그는 또 “2018년 시가총액이 높은 회사들의 국적도 흥미롭다. 특정 국가에서 탄생했지만 사업의 영역이 특정 국가에 속해있지 않다. 애플, 아마존, 페이스북 모두 전세계를 상대로 사업을 하고 있다”며 “위기상황에서도 이를 극복하면 새로운 글로벌 기업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김 대표는 “고객들의 니즈(Needs)를 지원하는 동시에 방역에도 도움을 주고 국가의 위기를 잘 넘길 수 있도록 역할을 하는 데 기업의 의미가 있다”며 세상의 변화를 이끄는 새로운 아이디어들은 남들이 시도하지 않은 분야에 도전해 빠르게 성장하는 스타트업으로부터 시작한다. 코로나19라는 인류가 전에 보지못했던 문제를 맞닥뜨리면서 스타트업 밸류가 높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김 대표는 “코로나19가 지나간다고 하더라도 스타트업의 혁신 아이디어를 경험한 고객들이 이 트렌드에 동참할 것이다”라며 “스타트업들의 사업은 코로나19를 극복하는 아이디어뿐만 아니라 미래를 선도하는 아이디어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