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총 매출 전년 대비 24% 증가···코로나19로 라면 소비 급증
美 법인 매출, 전년보다 28% 늘어···중국 법인 제치고 농심 해외 사업 선두
[시사저널e=박지호 기자] 올해 농심의 해외 매출이 사상 최대치를 기록할 전망이다.
4일 농심은 올해 해외 총 매출이 전년 대비 24% 성장한 9억9000만달러(한화 약 1조 1200억원)를 기록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신라면의 활약과 짜파구리 인기, 코로나19 등의 영향이 최대 실적을 견인했다.
올 초부터 신라면을 비롯한 짜파게티, 너구리 등 한국라면에 대한 관심과 판매가 늘어났고, 코로나19가 미국, 유럽 등지로 빠르게 번지면서 간편식 수요와 맞물려 라면소비가 급증했다. 농심은 미국과 중국 현지 생산라인을 풀가동하고 수출물량을 늘리면서 수요에 탄력적으로 대처했다.
수출 전선인 유럽시장은 영국, 독일 등에서 괄목할만한 성장을 거뒀다. 농심은 영국의 테스코, 모리슨, 아스다, 독일의 레베, 에데카 등 메이저 유통업체를 중심으로 꾸준히 영업망을 구축해 코로나 발생 이후 현지 라면수요를 적극 흡수했다. 농심의 올해 유럽 수출액은 전년 대비 30% 증가할 전망이다.
올해 가장 두드러진 해외시장은 미국이다. 캐나다를 포함한 미국법인 매출은 약 3억 2600만달러(한화 약 3700억원)로 예상된다. 이는 전년 대비 약 28% 성장한 수치로, 미국은 올해 중국법인을 제치고 농심의 해외사업 선두자리를 차지하게 됐다.
농심은 지난 2017년 세계 최대 유통사인 월마트 전점 입점을 시작으로 미국 내 주류시장에서 공격적인 마케팅을 펼치고 있다. 올해도 월마트, 코스트코, 크로거 등 메인 유통사를 중심으로 매출 확대에 나섰다. 실제 농심은 월마트와 코스트코에서 매출이 각각 47%, 37%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다.
특히 신라면, 신라면블랙 등이 주가를 올렸다. 올해 신라면 브랜드의 해외 매출은 전년 대비 30% 성장한 약 3억 9000만달러(한화 약 4400억원)로 예상된다. 농심 해외 사업의 40%가량을 홀로 담당할 만큼 농심 해외 사업의 핵심이다.
농심은 “신라면의 매운맛은 한국을 넘어 전 세계를 울리고 있다”며 “출시 35년을 맞는 내년에는 연매출 1조원의 메가 브랜드로 성장해 K 푸드의 위상을 높여나가겠다”고 말했다. 농심은 내년 해외사업 매출 목표를 올해보다 12% 높은 11억 1000만달러(한화 약 1조 2600억원)로 잡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