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기본계획 승인, 2024년 개통 목표···부산·대전 트램 사업도 속도
경제적 불확실성·교통 혼잡 우려도···“전 세계적으로 흑자난 사례 없어 ”

트램 / 사진=서울시

[시사저널e=길해성 기자] 위례신도시의 핵심 교통망으로 꼽히는 ‘위례선 트램’ 사업이 정부 승인을 받아 내년 본격적인 공사에 들어간다. 추진 12년 만이다. 부산과 대전에서 진행되고 있는 트램 사업들도 본궤도에 올랐다. 각 지자체는 트램을 통해 대중교통 역할에 관광, 일자리 등을 연계한 다양한 사업을 펼칠 것으로 보인다.

트램은 전기를 동력으로 도로 위에 깔린 레일 위를 주행하는 노면 열차다. 기존 지하철·경전철에 비해 공사비가 저렴하고, 전기로 운행하는 친환경 대중교통 수단이라는 장점이 있다. 최근 지자체들이 앞다퉈 추진하고 있다. 다만 트램이 전 세계적으로 흑자가 난 사례가 없는 만큼 경제적 불확실성이 크고 교통 혼잡 가능성이 제기되는 등 우려되는 부분도 적지 않다. 

2일 서울시에 따르면 위례선 트램 사업은 최근 국토부로부터 ‘위례선 도시철도 기본계획’ 승인을 받았다. 위례선 도시철도 기본계획은 5.6㎞ 구간에 12개 정거장으로 계획됐다. 본선(4.7㎞)은 위례신도시 단독주택 예정지와 위례중앙광장, 위례 트랜짓몰(중앙)을 거쳐 8호선·분당선 지하철인 복정역까지 총 10개소 정거장을 연결한다. 또 위례 트랜짓몰(남측)을 경유해 현재 공사 중인 8호선 우남역(가칭)까지 2개소 정거장을 짓는 지선(0.7㎞)이 있다. 시는 2024년 완공을 목표로 내년 공사에 착수한다는 계획이다.

위례선 트램은 교통이 불편한 위례신도시의 숙원사업 중 하나다. 2008년 3월 위례신도시 광역교통개선대책안 중 하나로 등장했다. 하지만 민자사업으로 진행되던 트램 사업은 경제성 타당성 검토에서 발목을 잡혀 왔다. 2018년 3월에는 경제성이 낮다는 이유로 최종 무산됐다가 위례 주민들의 반발로 지난해 공공사업으로 재추진되고 있다. 서울시는 위례선 도시철도 기본계획이 승인됨에 따라 기본·실시설계, 각종 영향평가 등 후속절차를 조속히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위례신도시 트램 노선도 / 자료=서울시

위례신도시는 아파트 단지와 위례 트랜짓몰을 관통하는 트램을 통해 기존 지하철 5호선·8호선·분당선으로 환승할 수 있어 교통이 크게 개선될 전망이다. 현재 위례신도시 내에는 버스 외에 대중교통이 전무한 상황이다. 위례신도시 상권도 살아날 것으로 기대된다. 위례신도시 주요상권은 현재 트램 노선 중심부에 조성된 ‘트램라인’ 양쪽으로 위치했다. 하지만 그동안 트램 사업이 지지부진함에 따라 해당 상권도 침체를 겪고 있는 실정이다. 트램이 개통되면 위례신도시 뿐만 아니라 서울 송파·경기 분당의 외부 인구까지 유입돼 상권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다.

부산·대전에서 추진되고 있는 트램 사업들도 본격화되는 분위기다. 부산에선 부산 도시철도 2호선과 이기대어귀삼거리를 잇는 트램 ‘오륙도선 기본계획’이 국토부로부터 승인을 받았다. 오륙도선은 개통일이 2023년으로 가장 빨라 ‘대한민국 1호 트램’이 될 전망이다. 대전에선 ‘도시철도 2호선 트램 기본계획’이 승인됐다. 대전 트램은 총연장 36.6㎞, 정거장 35곳을 건설하는 것으로 총사업비 7492억원이 투입되는 대규모 프로젝트다. 2027년 개통될 예정이다.

현재 전국 지자체 5곳에서 총 17개의 트램 사업이 구상 또는 계획 중이다. 이 중 위례·부산·대전 등 세 곳의 트램 사업이 본격화되면서 다른 지역도 속도를 낼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다만 전문가들 사이에선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대전에선 트램으로 인해 심각한 교통 혼잡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서민호 국토연구원 연구위원은 지난 26일 ‘2020 대전트램 세미나’에 참석해 “대전 트램의 경우 당초 지하철이나 고가철도 방식을 전제로 추진된 노선을 그대로 트램 노선으로 옮겼다”며  “기존 차로가 줄어드는 데다 노선 주변으로 대규모 재개발·재건축 수요가 단기 집중되면서 심각한 교통 혼잡과 난개발이 우려돼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 트램이 전 세계적으로 성공한 사례가 없는 데다 개발비·운영비 등이 만만치 않아 경제적 불확실성이 크다는 점도 우려되는 부분이다. 트램 사업은 국비 외에 초과비용을 유치기관이 내야 한다. 운영비는 연간 수십억원에 달할 전망이다. 심교언 건국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트램은 건설비와 운영비가 기존 지하철보단 적게 들지만 국내에 건설된 사례가 없기 때문에 실제 비용이 얼마나 드는 지 구체적으로 추산하기 어렵다”며 “전 세계에서 트램으로 인해 흑자를 낸 사례가 없다는 점을 감안하면 지자체가 신중하게 접근해야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