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2022년 미래차 대중화 위해 편의·가격·수요 3대 혁신책 발표···자율주행 레벨3출시 및 2014년까지 레벨4 일부 상용화 목표
비트센싱·팬텀AI·포티투닷·에스오에스랩 등 자율주행 스타트업 '주목'

지난 17일 경기 판교 제1,2테크노밸리 일원에서 열린 제4회 판교자율주행모빌리티쇼에서 관람객들이 경기도 제로셔틀에 탑승하고 있다. / 사진=연합뉴스
지난 17일 경기 판교 제1,2테크노밸리 일원에서 열린 제4회 판교자율주행모빌리티쇼에서 관람객들이 경기도 제로셔틀에 탑승하고 있다. / 사진=연합뉴스

[시사저널e=차여경 기자] 한국판 뉴딜의 일환으로 전기차와 자율주행차 등 미래차 지원책이 확대된다. 업계는 자율주행이나 전기차 분야 테크 스타트업들이 수혜를 입을 수 있을지 기대하고 있다. 동시에 부품 기업 지원과 안전문제 대비 등 인프라가 마련돼야 한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30일 중소벤처기업부, 산업통상자원부, 국토교통부 등 정부 부처는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 중 미래차분야 4대 목표 및 추진전략을 발표했다. 정부는 2022년 미래차 대중화 원년 및 2025년 미래차 중심 사회 생태계 구축을 목표로 삼았다.

정부는 구체적으로 ▲25년 전기차 113만대, 수소차 20만대 국내보급을 위한 수요창출 ▲2025년 전기차‧수소차 수출 53만대 ▲이차전지 매출 50조원 달성 ▲2022년 세계최고수준 자율주행 레벨3출시 및 2024년 레벨4 일부 상용화 ▲2030년까지 자동차 부품기업 1000개를 미래차로 전환하는 계획을 밝혔다.

특히, 전기차 충전기 신축건물 의무설치 비율을 확대하고, 기존건물에 대한 의무설치 비율도 신설한다. 민간과 협력해 전기차 핵심부품인 배터리 시스템에 대한 연구개발(R&D)을 진행하고 전용 플랫폼을 개발·적용하기도 한다. 전기차 배터리를 대여해서 쓰고 나중에 반납하는 배터리 리스 시범사업도 다음 달부터 추진한다.

자율주행 및 모빌리티 서비스 활성화를 위해 내년부터 2025년까지 모든 고속도로 및 주요 간선도로에 C-ITS가 구축된다. C-ITS는 자동차와 도로, 자동차와 자동차 간 통신을 활용해 차량의 눈 역할을 하는 센서의 인지 기능을 보완하고 안전한 주행을 돕는 인프라다.

영상․위치 등 자율주행 정보 국가표준을 세계최초로 마련하고, 국제표준으로 제안을 추진한다. 정부와 민간히 협력해 데이터 생산-축적-가공-공유 체계를 마련하고, 중소기업과 스타트업 등 모든 개인과 기업이 부품개발 및 서비스 개발에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완성차사는 미래차 부품전환 희망기업 60여개를 발굴하고, 정부와 함께 기술개발, 지식재산권 확보, 인수합병(M&A) 등 집중 지원한다.

특히 스타트업들을 육성할 수 있는 3500억원 규모 펀드가 조성된다. 이 펀드는 스마트대한민국펀드와 빅3펀드에서 출자된다. 수소충전소 구축, 사업전환, 벤처·스타트업 지원 등에 투자하게 된다.

한편 미래차에 대한 지원이 늘어나면서 전기차, 자율주행차 관련 스타트업들도 수혜를 얻을지 기대되고 있다. 미래차 관련 스타트업들은 주로 부품이나 센서, 인공지능(AI) 소프트웨어를 만드는 테크 스타트업들이 대다수다. 굿바이카 등 전기차 배터리 재사용 스타트업들도 규제샌드박스를 통과하며 사업에 시동을 걸고 있다.

스타트업 업계에서는 이미 자율주행과 전기차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가 커지고 있다. 자율주행 4차원 이미징 센서를 개발 중인 ‘비트센싱’은 70억원 규모 시리즈A투자를 유치했고, 머신러닝 기반 장애물 감지 시스템을 개발한 미국 실리콘밸리 기반 스타트업 ‘팬텀AI’도 2200만달러(268억4000만원) 규모의 시리즈A 투자를 유치했다.

이외에도 자율주행 타스(aTaaS) 스타트업 ‘포티투닷’, 딥러닝 기반 사물 인식 소프트웨어 개발스타트업 ‘스트라드비젼’, 자율주행 라이다 센서를 개발하는 ‘에스오에스랩’ 등이 국내외에서 사업을 확장 중이다.

하지만 미래차 산업이 주목을 받고있는 것이 비해서는 시장이 아직 작다, 중기부에 따르면 미래차 전장 부품기업은 전체 부품기업의 4%로 수적으로 부족한 상황이다. 내연기관 전용부품 기업이 전체 부품기업 가운데 31.4%(2800개사)를 차지하는 등 산업생태계 전환도 필요한 상황이다.

업계 관계자는 “정부에서 운전자 개입이 필요없는 자율주행 레벨4를 목표로 세웠지만 인프라부터 잘 마련이 돼야 한다”며 “소프트웨어뿐만 아니라 하드웨어도 중요한데 부품 대부분이 해외 수입산인 상황이다. 테크 스타트업과 부품을 개발하는 중소기업들이 함께 협업할 수 있는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안전성 이슈를 대비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인터넷기업협회에 따르면 모빌리티 분야 스타트업들은 AI, 5G, 빅데이터 등 신기술을 바탕으로 한 혁신적 모델을 내고 있는 추세다. 협회는 “글로벌 시장 기준으로 플라잉카나 자율주행 등 혁신모빌리티에 대한 상용화 시점을 3~5년 뒤로 예상한다”며 “국내 모빌리티 산업도 혁신모빌리티 개발과 상용화에 주안점을 두고 있으므로 안전성 이슈에 대한 각계 수용성 확보를 고려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