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 통합기술마켓 구축방안’ 340개 공공기관에 배포···에너지·ICT 분야 추가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지난 23일 서울 광화문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관계장관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 사진=연합뉴스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지난 23일 서울 광화문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관계장관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 사진=연합뉴스

정부는 공공기관이 중소기업의 기술과 제품을 구매 할 수 있는 온라인 통합 플랫폼 ‘공공기관 통합기술마켓’을 에너지와 ICT(정보통신기술) 분야 등으로 확대한다.

기획재정부는 이 같은 내용이 담긴 ‘공공기관 통합기술마켓 구축방안’을 마련해 340개 공공기관에 배포했다고 25일 밝혔다.

공공기관 통합기술마켓은 공공기관이 협업해 중소기업의 혁신성 높은 기술과 제품을 기술력만으로 구매하는 온라인 통합플랫폼이다. 중소기업의 기술과 제품을 전문가가 인증하고 통합기술마켓에 등록하면 납품실적 등의 제약 없이 공공기관이 구매한다.

이번 공공기관 통합기술마켓 구축방안에 따라 앞으로 기술마켓 등록 제품·기술 분야를 에너지와 ICT 등으로 확대한다.

이에 올해 안에 한국전력 등 에너지 공공기관 중심으로 ‘에너지 기술마켓’을 개통하고 내년에는 ICT, 교육과 연수 분야 등으로 확산한다.

기존의 ’SOC 기술마켓‘도 수자원공사, 환경공단의 추가 참여를 추진한다.

또 통합기술마켓 인증제품 판로를 넓히기 위해 오는 10월부터 공공기관 통합기술마켓에서 인증 받은 중소기업 제품이 조달정책심의회의 공공성 평가를 거쳐 혁신제품으로 지정되면 수의계약 대상으로 삼는다.

혁신제품은 조달청 혁신장터에 게재돼 정부·지자체·공공기관·지방공기업이 수의로 구매할 수 있다.

기재부는 혁신제품 수의계약으로 인한 손해가 발생할 경우 고의나 중대한 과실 외에는 면책하기로 했다. 구매 책임자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서다.

기재부는 통합기술마켓 이용실적을 공공기관들의 경영평가에 반영하는 등 적극적인 참여도 유도한다. 통합기술마켓 인증제품 구매실적을 혁신구매 목표제 실적에 포함해 공공기관의 인증제품 구매를 이끈다. 또한 참여기관과 금융지원 등 지원기관의 성과를 경영평가에 지속적으로 반영하기 위해 평가지표 신설도 추진한다.

기재부는 “공공기관 통합기술마켓 구축방안을 차질없이 이행해 중소기업의 혁신성장을 적극 지원하고 운영상 나타난 문제점 등을 모니터링해 보완하겠다”며 “제도 안착과 개선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