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 만세운동 참가···친구 김원봉과 의열단 조직
조선의용대 이끌고 중일전투 참전
2020년 대한민국은 임시정부 수립과 3.1 운동 101주년을 맞았다. 1910년 일본에 나라를 빼앗긴 우리 민족은 끊임없이 항일독립운동을 했다. 1919년 3월 1일 전국 방방곡곡에서 남녀노소 모두 일어나 만세운동을 했다. 다음 달인 4월 11일 독립운동가들은 중국 상하이에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수립했다. 당시 대한민국 임시헌장 제1조는 ‘대한민국은 민주공화제로 한다’다. 이는 우리 민족의 자주 독립과 민주주의에 대한 확고한 의지를 보여준다. 시사저널e는 임시정부 수립과 3.1운동 101주년을 맞아 국가보훈처 자료를 바탕으로 독립운동에 헌신했던 사람들의 삶을 기사화한다. 특히 대중들에게 익숙하지 않은 독립운동가들을 중심으로 조명한다. [편집자 주]
윤세주(尹世胄) 선생은 1919년 3월 1일 서울 만세운동에 참가 후 독립운동을 확산시키기 위해 고향 밀양으로 내려가 독립선언서를 낭독했다. 이후 선생은 김원봉 등과 함께 조선의열단을 창설하고 무장항일투쟁에 나섰다. 조선의용대를 이끌고 태행산에서 일군 40만명과 결전하다 숨졌다.
선생은 1901년 6월 24일 경남 밀양군 부북면 감천리에서 태어났다. 선생은 경술국치소식을 듣고 대성통곡하기도 하고 국민학교 때 일왕(日王) 출생 기념일에 받은 일장기를 화장실에 버릴 만큼 일제를 증오했다.
선생은 경남 밀양의 동화(同和) 중학에 입학하면서 항일 인사였던 김홍표(金鴻杓) 교장의 항일정신 영향을 받았다. 선생은 학교 내 비밀결사인 연무단(練武團)을 조직했다. 연무단은 당시 금지됐던 개천절 기념행사를 하고 시위를 벌였다. 이 사건으로 동화중학은 폐쇄됐다.
◇ 서울 만세운동 참가 후 고향서 독립선언서 낭독
선생은 1919년 3월 1일 서울에서 만세운동에 참가했다. 선생은 만세운동을 확산시키기 위해 고향에 내려가 동지들을 모았다. 선생은 13일 수천명이 모인 고향 장터에서 독립선언서를 낭독했다. 동지들은 일제히 독립만세를 외쳤다.
선생을 자신을 잡으려는 일본 경찰의 수배를 피해 중국 동삼성으로 망명했다. 선생은 만주로 가 요녕성 유하현에 있는 신흥무관학교에 들어갔다.
신흥무관학교는 당시 국내의 독립운동 비밀단체인 신민회의 결의에 따라 이회영(李會榮) 형제가 세운 독립군양성 무관학교다. 선생은 이곳에서 정식으로 군사훈련을 받았다.
◇ 김원봉 등과 의열단 만들다
선생은 같은 해 11월9일 친구인 김원봉(金元鳳) 등 13명과 함께 조선의열단을 결성했다. 조선의열단은 조선총독부 등 일제 침략기관 파괴와 원흉들을 처단하기 위한 계획을 세우고 폭탄 투척자를 찾았다.
당시 19세의 선생은 신철휴(申喆休)·윤치형(尹致衡) 등과 함께 국내에 들어왔다. 선생 일행은 계획을 진행 하던 중 정보가 누설돼 동지 50여명과 함께 체포됐다. 선생은 5년 4개월의 감옥 생활을 하고 1927년 출옥했다. 선생은 독립운동을 위해 1932년 여름 다시 중국 남경으로 망명했다.
선생은 1932년 10월 20일 중국 군사위원회 간부 훈련단 제6대(약칭 조선민족혁명간부학교)에 입교해 1933년 4월 21일 제1기로 졸업했다. 당시 독립운동 단체들은 연합준비위원회를 구성한 뒤 해외 독립운동 단체들을 참가시켜 그 해 11월 10일 한국대일전선 통일연맹을 결성했다.
선생은 이 단체에서 송병조(宋秉祚)·김두봉(金枓奉)·김규식(金奎植)·윤기섭(尹琦燮)·최동오(崔東旿) 등과 함께 중앙집행위원회 상무위원으로 선출됐다.
이 단체는 1933년 7월 5일 독립운동가들이 소망하던 단일 정당인 민족혁명당을 탄생시키는 모체가 됐다. 선생은 이 단체에서 핵심 역할을 했다. 선생은 조선의용대의 핵심부서인 편찬위원회에서 선전공작활동도 했다. 조선의용대는 민족혁명당이 일제에 무력으로 대항하기 위해 중국과 제휴해 만든 단체다.
그러나 상황은 나빠졌다. 독립운동에 협력하던 중국 국민당 정부는 1938년 10월 25일 무한(武漢)이 일제에 함락되자 중공군과의 내전에만 집중했다.
◇ 일군 40만명과 결전서 순국
선생은 직접 조선의용대를 이끌고 중일전투에 참가했다. 1941년 4월 선생은 수많은 고난을 극복하고 황하를 건너 화북을 향해 북상했다. 태행산 항일 근거지에 도착한 후 선생은 조선의용대를 조선의용군으로 개칭하고 중공 8로군과 함께 항일 무장활동에 열중했다.
1942년 2월 일본군은 4만명의 군대를 동원해 태행산을 공격했다. 이후 5월에는 20개 사단 40만명의 병력으로 대대적인 공격을 했다. 당시 조선의용군 규모는 4000명에 미치지 못했다.
40만명의 일본군은 태행산을 완전 포위한 후 전투기와 전차까지 동원해 본격적인 군사작전을 폈다.
5월 29일 항일 연합군사령부는 조선의용군에게 탈출로를 확보하고 전군이 탈출하도록 지원하라고 명령했다. 조선의용군은 일제가 점령하고 있는 양쪽 산봉우리 사이의 탈출로를 확보하기 위해 두 산봉우리를 공격하고 부대원이 탈출할 때까지 이 곳을 사수하기로 했다.
작전개시 5시간 만에 탈출로를 확보했으나 윤세주 선생은 총탄을 맞고 쓰러졌다. 3일 뒤 동지들이 쓰러져 있는 선생을 발견했으나 6월 3일 숨을 거두었다.
“단결해서 적을 사살하기 바란다.”
선생이 동지들에게 남긴 유언이다. 선생의 나이 41세였다. 선생이 전사한 뒤 1주년이 된 1943년 6월 중경에서는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조선민족혁명당, 조선의용군 등이 합동으로 선생의 추도회를 가졌다.
정부는 선생의 공훈을 기려 1982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