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사고 보험처리 시 보험료 할증 고려해야
자동차 사고가 발생했을 때 따져봐야 하는 것이 바로 ‘자기차량손해담보’(자차보험)다. 내 차를 위한 담보지만 많은 운전자들은 경미한 사고가 발생했을 때도 자차보험을 활용하는 게 맞는지 고민한다. 보험 수리를 했다가 예상치 못한 수리비용과 사고 이력으로 다음해 갱신 때 보험료가 오르는 빌미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오늘은 자차보험 처리 전 알아두면 좋은 몇 가지 내용에 대해 알아보자.
Q. 자차보험이란?
자차보험이란 사고나 도난 등으로 운전자의 차량에 손해가 생긴 경우 그 손해를 보상해주는 담보다. 자신의 차량이 입은 손해 정도를 따져서 그에 맞는 보상을 받을 수 있는 보험으로, 가입 단계에서 운전자의 교통법규 위반 여부, 운전 기간 등 가입자의 조건을 다방면으로 따져서 보험료를 책정한다.
그러나 자차보험으로 자동차와 관련한 모든 문제를 보상받을 수 있는 건 아니다. 자차보험은 일종의 자동차를 위한 ‘상해보험’으로, 사고로 인한 피해를 고치는 경우에만 활용할 수 있다. 차량 노후로 인한 장비 고장 등은 보장 대상에 포함되지 않는다.
Q. 자차보험료 할증 기준?
자차보험으로 사고를 처리하면 부담금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문제는 보험료 할증이다. 보험 처리를 하면 당장 수리비 걱정은 덜 수 있어도 갱신 시 보험료가 오를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모든 사고가 할증 대상은 아니다. ‘물적사고 할증기준금액’이라는 범위에 따라서 보험료 할증 발생 여부가 결정된다.
물적사고 할증기준금액은 보험료가 올라가는 기준으로 보험 가입 시 50만·100만·150만·200만원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수리 비용이 이 할증기준금액 구간을 초과하지 않아야 기존 보험료를 유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자차보험 처리를 할 때는 총 수리 비용의 20%가량(최소 20만원)을 자기부담금으로 충당하기 때문에 이를 제외한 나머지 금액이 할증기준금액을 넘지 않으면 된다.
가령 수리 비용이 100만원이 발생하는 사고가 났을 경우를 가정해보자. 내가 선택한 할증기준금액이 50만원이라면, 자기부담금 20만원을 내고 나머지 80만원을 자차보험으로 보상받을 수 있다. 이때 보장받는 수리 비용이 할증기준금액을 30만원 초과하기 때문에 보험료 할증 대상이 된다. 같은 예시에서 할증기준금액이 100만원이라면 할증을 피할 수 있다. 따라서 수리 비용 발생으로 인한 보험료 갱신을 피하고 싶다면 할증기준금액을 최대로 설정하는 것이 부담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이다.
Q. 사고 이력도 보험료 인상에 영향을 미치나요?
할증기준금액을 최대로 설정해도 안심할 수 없는 이유가 바로 사고 이력이다. 수리 비용 금액뿐만 아니라 사고 횟수도 자차보험의 보험료 할증 요인이기 때문이다. 특히 ‘사고건수요율제’라는 자동차 사고의 이력을 남기는 제도를 염두에 둬야 한다.
아무리 경미한 사고로 수리비가 적게 나온다고 해도 3년 이내에 보험으로 처리한 이력이 있다면 보험료 할증 대상에 속한다. 사고 수리 비용과는 관계없이 건당 적용을 받으며, 보험사마다 할증 비율에는 차이가 있지만 평균적으로 1건이면 보험료가 12%, 2건이면 약 37%, 3건이면 60% 이상에 달하는 할증이 붙는다. 때문에 보험료 할증을 피하기 위해서는 사고 이력이 쌓이지 않게 주의가 필요하다.
Q. 자차보험 처리, 어떤 경우에 활용하는 게 유리한가요?
앞서 잠시 언급한 것처럼 자차 처리를 해도 자기부담금이라는 것이 존재한다. 20만~50만원 정도의 비용이 발생하니 만약 20만원 내외의 수리 비용이 발생한 경미한 사고라면 비보험 처리를 하는 것이 유리하다.
실제로 온라인상에서는 50만원 미만의 사고에 대해서는 개인적으로 비용처리하라는 조언이 공공연하게 퍼져 있다. 수리비가 할증기준금액을 넘지 않아도 사고 건수가 기록되면 ‘무사고 할인’을 받을 수 없기 때문이다.
운전자에 따라서 무사고 할인 폭은 천차만별이지만 3년 이상 무사고라면 약 8% 정도 보험료 할인을 받을 수 있다. 수리 비용이 많지 않은 경우 괜히 보험 처리를 해서 사고 이력을 남기는 것보다는 무사고 이력을 유지해 보험료 할인을 받는 것이 더 유리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는 보험금을 수령해 수리비를 줄이거나 추후 보험료 할증을 아끼는 것 중 손해가 더 적은 쪽을 판단해 결정하는 것이 가장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