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도 행사 대신 간부회의서 간단히 소회 밝혀···“사모펀드·DLF 피해 안타까워”
가계·기업부채 관리도 강조···“생산적 부문으로 시중 유동성 유도”
오는 9일 취임 1주년을 맞이하는 은성수 금융위원장이 코로나19 위기 극복을 위한 선제적이고 과감한 금융지원을 강조하고 나섰다.
8일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은 위원장은 이날 별도의 취임 1주년 행사를 대신해 내부회의에서 간부들에게 간단한 소회를 밝혔다.
은 위원장은 지난 1년 동안 가장 기억나는 업무로 코로나19 위기 대응을 꼽았다. 그는 “화재가 발생하면 소방용수를 아끼기보다는 인명구조, 화재진압에 최선을 다하듯이 코로나19 위기대응 과정에서도 선제적이고 과감한 금융지원을 추진하고 있다”며 “어려움을 분담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면서도 금융권의 건전성이 훼손되지 않도록 각별히 관리하겠다”고 밝혔다.
은 위원장은 1년의 임기 중 약 절반을 코로나19 국면에서 보냈다. 위기 상황 속에서 은 위원장은 ▲민생금융안정패키지를 통한 소상공인·중소기업 긴급 경영자금 공급 ▲기간산업안정기금 마련 ▲채권시장안정펀드 조성 ▲공매도 금지 조치 등을 통해 시장 안정을 이끌어 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그는 “지난 1997년 외환위기 당시 재정경제원 금융정책실 총괄서기관의 경험이 있다”며 “코로나19 위기에 직면해 두려움보다는 막중한 책임감이 앞섰다”고 말했다.
지난해부터 금융권에서 지속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사모펀드 사태와 관련해서는 다소 아쉬움을 드러냈다. 라임펀드에 이어 옵티머스펀드, 디스커버리펀드 등에서 연이어 환매 중단 사태가 발생하자 금융당국은 시장 관리·감독 측면에서 많은 비판을 받았다. 특히 은 위원장은 지난해 10월 “세상에 공짜 점심은 없다”는 발언을 통해 투자자의 책임을 강조하다가 여론의 뭇매를 맞기도 했다.
은 위원장은 “재임기간 중 사모펀드, DLF 등으로 피해를 입은 투자자들에 대해 매우 안타깝게 생각한다”며 “앞으로 각종 금융사고에 대해 엄정히 대처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오랫동안 결실을 맺지 못한 금융소비자보호법 제정 등을 통한 소비자보호의 기본 틀이 정립됐다”고 덧붙였다.
향후 주요 과제 중 하나로 가계·기업부채 관리를 꼽기도 했다. 한국은행의 ‘2분기 가계신용’ 통계에 따르면 2분기 말 기준 가계신용 잔액은 1637조3000억원으로 1분기 대비 25조9000억원(1.6%)이나 늘어났다. 코로나19 위기 및 부동산·주식시장 과열로 10분기(2년 6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가계 대출이 증가했다.
은 위원장은 “위기극복 과정에서 불가피했던 가계·기업부문 부채증가가 향후 우리경제 재도약의 걸림돌로 작용하지 않도록 연착륙을 도모하겠다”며 “생산적 부문으로의 시중유동성 유도와 전방위적 자산가격 상승에 따른 부작용 차단 등을 장기적 관점에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