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 재난지원금 사실상 공식화···선별 지급 가닥
“1차 때보다 시스템 구축 관련 투입 비용 줄어들 것”
선별 지급으로 소비 촉진 효과 제한적일 것이란 시각도

서울 성북구청에서 직원들이 1차 긴급재난지원금 신청 당시 안내, 상담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서울 성북구청에서 직원들이 1차 긴급재난지원금 신청 당시 안내, 상담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전국적으로 재확산되면서 정치권을 중심으로 2차 긴급재난지원금 지급 논의가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상반기 재난지원금 효과로 반사이익을 누리며 기대 이상의 실적을 거뒀던 카드업계에서는 두 번째 재난지원금 특수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 홍남기 부총리 “재난지원금 추가 지원 불가피”···여야도 선별 지급 사실상 합의

2일 국회에 따르면 전날 정기국회가 개원함에 따라 2차 긴급재난지원금이 주요 쟁점으로 떠오르고 있다.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은 이번 주 중으로 당정청 회의를 열고 2차 긴급재난지원금을 논의할 예정이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지난 1일 ‘KBS 뉴스 9’ 인터뷰를 통해 2차 긴급재난지원금 지급이 불가피하다는 의견을 밝혔다. 그는 “최근 확진자 수가 급증하고 사회적 거리두기가 강화되면서 소상공인과 자영업자 피해가 더 커져 추가 지원이 불가피하다고 보고 있다”고 말했다. 사실상 2차 재난지원금 코로나19 2차 긴급재난지원금 지급이 공식화된 것이다.

앞서 홍남기 부총리는 지난 27일에도 내년 예산안과 관련한 기자간담회에서 코로나19 재확산 우려와 관련해 사회적 거리두기가 3단계로 강화될 경우 재난지원금 검토가 필요하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신임 대표와 김종인 미래통합당 비상대책위원장도 전날 4차 추가경정예산안을 통한 재난지원금 선별 지급에 사실상 합의했다. 국회 의석 176석을 보유한 여당과 제1야당 간 큰 이견이 없어 국회 통과가 유력시되는 상황이다.

◇ 카드업계, 재난지원금 반사이익 기대감···“1차보다 투입되는 개발 비용 적어”

카드업계는 2차 재난지원금 지급이 기정사실화되면서 하반기에도 상반기와 같은 ‘반짝 효과’가 나타날지 기대하고 있다. 2분기 국내 신용판매 승인금액은 전년 대비 3.9% 늘어난 22조5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코로나19로 3월에는 카드승인 실적이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최저치로 떨어졌지만 5월부터 재난지원금 지급 효과가 나타나면서 카드 이용실적이 반등한 것이다.

재난지원금 효과로 카드 소비가 늘자 상반기 카드업계 실적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신한·삼성·KB국민·현대·우리·하나·롯데·비씨카드 등 8개 전업계 카드사의 상반기 당기순이익은 1조1178억원이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9569억원)보다 16.8% 증가한 규모다.

2차 긴급재난지원금의 경우 1차보다 카드업계가 누릴 반사이익이 더 클 것으로 예상된다. 1차 재난지원금 지급 당시에는 관련 인력 및 시스템 구축 과정에서 적지 않은 비용이 투입됐지만 2차 지급의 경우 1차 때 갖춰둔 시스템을 그대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카드업계 관계자는 “앞서 1차 재난지원금 지급을 위해 서버 증설이나 관련 시스템을 갖춰뒀기 때문에 2차 지급이 진행되면 이전만큼 개발 비용이 크게 투입되지는 않을 것”이라며 “다만 향후 민원 대응과 같은 무형의 비용이 얼마나 늘어날지가 관건”이라고 말했다.

다만 일각에서는 2차 재난지원금의 경우 선별 지급이 유력시되는 만큼 1차 때보다 소비 촉진 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는 시각도 제기된다.

한 카드사 관계자는 “1차 지급은 전 국민을 대상으로 보편 지급되면서 2분기 카드 이용금액 증대에 기여한 부분이 있지만 2차는 어려운 계층 중심의 선별 지급으로 방향이 잡힌 만큼 1차 때처럼 전반적인 소비 촉진 효과를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예상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