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제 없는 3억 이하 아파트 값만↑
규제지역에서 3억 원을 초과하는 아파트를 사면 전세자금 대출을 회수하는 내용을 담은 6·17 부동산 대책이 시행된 이후 갭투자가 급격히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김상훈 미래통합당 의원이 확보한 국토교통부 갭투자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강남 4구(강남·서초·송파·강동구)에서 이뤄진 갭투자는 860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한 달 전인 지난 6월(1885건) 대비 54.4% 감소한 수준이다.
구별로 보면 같은 기간 강남구는 500건에서 229건으로, 서초구는 368건에서 224건으로 줄었다. 송파구와 강동구도 각각 624건에서 211건으로, 393건에서 196건으로 감소했다.
같은 기간 서울 전체 갭투자는 6월 6940건에서 3638건으로 33% 줄어들었다. 지난달 서울 아파트 전체 계약 건수는 전달보다 37% 늘었지만, 갭투자는 오히려 감소한 것이다.
갭투자 건수는 3억 원 이상 주택을 사면서 구매자가 낸 자금조달계획서에 임대보증금 승계 후 임대 목적으로 기재된 경우를 집계하는 형태로 조사됐다.
지난달 서울의 주택 거래에서 갭투자가 차지하는 비율은 36.1%로 조사됐다. 지난 3월부터 3개월 연속 상승해 6월에 40.8%로 치솟았다가 하락한 것이다.
갭투자 비율을 보면 가장 높은 강남구는 6월 66.0%에서 7월 56.5%로 9.5%포인트 떨어졌다. 송파구(46.2%)는 6.9%포인트 감소하며 지난 1월 이후 처음으로 50% 밑으로 내려갔다.
이는 정부가 지난 6월 17일 투기과열지구나 조정대상지역 등 규제지역에서 3억원을 넘는 아파트 구입 시 전세자금대출을 회수하는 대책 발표 이후 지난달 10일부터 시행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대치·삼성·청담동과 잠실동은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된 것은 강남구와 송파구의 갭투자 비율 급락에 영향을 미쳤다.
반면 3억원 이하의 아파트는 갭투자 매수세가 몰리면서 가격이 뛴 곳도 있다.
서울 내 저렴한 아파트가 상대적으로 많은 지역으로 알려진 도봉구 방학동 신동아아파트 1단지 전용면적 53.16㎡는 지난 6월 17일 이후 이날까지 총 17건의 매매 계약이 등록됐다. 6월 11일에 2억8800만원(7층)이 최고가였던 해당 면적은 불과 한 달 여 만인 지난달 27일 3억5500만원(11층)에 거래됐다.
김상훈 의원은 “수십 차례의 부동산 규제가 이어지면서 서민과 사회초년생이 접근할 수 있었던 중저가 아파트값이 급등했다”며 “이마저도 갭투자에 따른 매물 부족으로 구하기 어려워졌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