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장기화로 반도체, 자동차, 석유화학, 조선, 디스플레이, 전자·IT 모두 부진
수출 -5.1%, 매출 -4.2%, 영업이익 -13.8%···빨라야 내년 2분기부터 회복

주요 업종 전년동기대비 상반기 실적·하반기 전망 /자료=전경련
주요 업종 전년동기대비 상반기 실적·하반기 전망 /자료=전경련

코로나19 사태 장기화로 올해 하반기에도 국내 수출 주력업종의 실적 악화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반도체, 자동차, 석유화학, 조선, 디스플레이, 전자·IT 등 수출 주력 업종 6개 협회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올해 하반기 수출과 매출, 영업이익이 각각 5.1%, 4.2%, 13.8%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고 23일 밝혔다.

올해 하반기 6개 업종의 수출 예상치 합계는 1138억 달러로 지난해 하반기(1195억 달러)보다 57억 달러(-5.1%) 감소할 것으로 분석됐다.

앞서 6개 업종의 올해 상반기 수출은 코로나19 여파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5.8% 감소한 바 있다. 올해 하반기에는 감소 폭이 다소 완화되더라도 실적 악화는 지속될 것으로 보는 것이다.

올해 하반기 6개 수출 주력 업종의 매출총합 역시 4.2%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앞서 올해 상반기에는 반도체 업종이 호조를 보이면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매출이 0.3% 늘어났다. 하지만 이는 반도체 가격 상승에 따른 효과로 반도체 업종을 제외할 경우 –3.3%였다.

올해 하반기에는 반도체 업종마저 수요 부진에 따른 가격 하락이 이어지면서 6개 업종 전체 매출총합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영업이익 역시 코로나19 여파로 전년 동기보다 평균 13.8% 감소할 것으로 예측됐다.

실적 회복시기에 대한 예상에서는 2개 협회가 내년 2분기를 꼽았고 2개 협회는 코로나19가 통제되기 전까지는 실적 회복이 불가능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내년 4분기를 바라보는 협회와 예측이 불가능하다는 협회도 있었다.

이와 관련해 정부에게 바라는 지원 정책으로는 ▲시설투자, R&D투자 등 기업의 생산성 향상 노력에 대한 세제·보조금 지원 강화 ▲보호무역주의 완화를 위한 외교적 노력 ▲긴급운용자금 등 유동성 지원 ▲코로나19 재확산 시 수출입활동에 타격이 없도록 기업인·기업에 대한 신속편의 지원 ▲개별소비세 인하폭 확대 등 위축된 내수 확대를 위한 지원 등이 꼽혔다.

유환익 전경련 기업정책실장은 “올해 하반기 코로나19 확산세가 악화하면 올해 상반기 선방했던 우리 기업의 실적이 예상보다 더 나빠질 것”이라며 “대유행 가능성이 있는 만큼 정부의 적극적이고 선제적인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