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판 뉴딜 일환…16개 광역시⋅도 구축 사업자로 KT 선정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디지털 뉴딜 정책 일환으로 행정복지센터, 도서관, 버스정류장 등 국민들이 주로 이용하는 공공장소에 올해 말까지 무료 와이파이 1만개소를 추가 확대 구축하기로 했다. 아울러 오는 2022년까지 무료 와이파이 4만1000개를 추가 구축할 계획이다.
과기부는 16개 광역시도로부터 구축장소 수요 발굴, 구축 사업자(KT) 선정을 완료하고, 본격적인 사업 추진을 위해 지자체·정보화진흥원·사업자간 협약서를 체결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프로젝트는 정부와 KT가 상호출자 방식으로 사업을 진행하며, KT 투자 규모는 약 180억원 수준이다. 정부는 그동안 국민 가계통신비 지출부담을 줄이고 디지털 소외계층의 정보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전국 대중교통과 공공장소 등에 공공와이파이 구축을 추진해 왔다.
특히 이번엔 지역별 디지털 정보격차 해소를 위해 그 동안 구축 필요성은 높으나 투자비 등의 이유로 우선순위에서 제외됐던 도서지역이나 주민센터, 보건소, 도서관, 터미널, 버스정류장 등 공공장소 등에도 와이파이가 구축된다. 아울러 KT는 공공와이파이 구축과 더불어 도농간 디지털 정보격차 해소를 위해 농어촌 통신망 고도화 사업에도 참여해 233개 마을에 초고속인프라를 구축할 계획이다.
과기부는 현재 1만8000개소 공공장소에서 무료 와이파이를 운영하고 있으며, 2020년 1만개, 2021년 1만5000개, 2022년 1만6000개 등 총 4만1000개소를 추가로 구축할 계획이다. 아울러 2014년 이전 설치한 노후 공공 와이파이 1만8000개를 최신 장비(Wi-Fi 6)로 연내 교체해 서비스 품질도 크게 강화하기로 했다.
과기부는 공공 와이파이 품질 이슈를 체계적으로 관리·개선하기 위해 통합관리센터의 역할과 기능도 대폭 강화할 예정이다. 그간 구축 사업자에 의해 관리됐으나 2019년말에 센터로 일원화했고, 사업자 시스템과 연동을 완료해 센터에서 공공 와이파이 동작상태, 트래픽 현황 등을 실시간으로 점검한다. 또 지자체 등이 자체적으로 구축․운영하는 와이파이도 센터로 관련 정보를 연동해 중복 구축 방지, 품질 관리, 민원 대응 업무를 통합한다.
허성욱 과기정통부 정보보호네트워크정책관은 “원격교육, 재택근무 등이 확대되고 있는 상황에서 공공 와이파이는 국민 누구나 비대면 서비스를 누릴 수 있는 필수적인 수단”이라며 “공공장소 어디서나 데이터를 맘껏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박윤영 KT 기업부문장은 “KT는 이번 공공와이파이 구축을 비롯, 농어촌 통신망 고도화 사업에도 참여해 디지털 정보격차 해소에 기여하고 국민 삶을 변화시킬 것”이라며 “앞으로도 KT는 한국판 뉴딜의 빠른 실행을 위해 ICT 역량을 동원해 적극 협력할 예정이다”고 말했다.